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은 3일 통합추진협의체 첫 회의에서 신당을 창당하는 신설합당 방식으로 통합을 추진키로 했다. 새로운 정당을 만든 뒤 기존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을 흡수하는 방식이다. 의원들의 당적이 그대로 승계되는 등 절차가 간소하기 때문에 조기 통합에 유리하다는 판단이다. 새로운 인물들이 합류하기에도 신당 형태가 알맞다고 본 것이다. 1월 말쯤 각 당 전당대회를 거쳐 다음 달 9일 평창 동계올림픽 개회 이전에 통합을 마무리하겠다는 구상이다. 설 밥상에 통합신당을 올리는 게 목표다. 순조롭게 통합 작업이 이뤄질 경우 6월 지방선거에서 최대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통합신당에 대한 국민의 기대치는 일정 정도 확인됐다. 일부 언론사들의 신년 여론조사에서 아직 출범하지도 않은 통합신당의 지지율이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을 앞서 2위로 오른 점이 이를 보여준다. 지난 총·대선에서 거대 양당 구조에 염증을 느낀 유권자들이 적지 않은 표를 두 당에 던진 바 있다. 거대 정당들이 지금도 편 가르기와 반개혁적 행태로 일관하고 있어 중도 정치에 대한 국민들의 갈망은 유효하다고 할 수 있다. 지역과 이념에 기반을 둔 거대 양당 구조를 깨는 것은 반드시 해결해야 할 한국 정치의 해묵은 숙제이기도 하다. 영호남 통합 정당이 탄생한다면 한국 정치 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통합 작업이 제대로 굴러가기 위해선 넘어야 할 산이 많다. 국민의당 내분 사태는 상당한 폭발력을 가진 현재진행형이다. 통합 반대파의 집단 탈당 움직임이 조금씩 구체화되고 있다. 통합 마지막 관문인 전당대회가 제대로 치러질지 불분명하다. 진흙탕 싸움이 계속된다면 통합의 시너지 효과는 줄어들 수밖에 없다. 한국당이 보수결집을 시도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바른정당이 이탈자 없이 버틸 수 있을지 의문이다. 양당 노선의 동질성이 부족한 점도 걸림돌이다. 특히 대북 정책에 있어 간극이 커 보인다. 지방선거를 위한 세불리기용 통합이라는 비판 여론은 엄청난 부담이다. 이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지 못한다면 국민들의 기대감은 일거에 사라질 수 있다. 거대 양당 중심의 헤쳐모여로 귀착될 가능성마저 배제할 수 없다.
머뭇거리고 있기엔 양당 통합파에게 주어진 시간이 많지 않다. 좌고우면하다간 정치 생명이 끝장날 수도 있는 상황이다. 통합에 앞서 명분과 노선을 분명히 하는 게 시급하다. 거대 양당 정치로 인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안보와 경제에 방점을 둔 제3의 노선을 국민들에게 제시해야 온당하다. 양당이 통합하는 과정에서 자리싸움을 벌인다면 국민들의 동의를 얻는 것은 불가능하다. 외부 개혁세력 영입도 게을리해선 안 된다. 국민에게 박수를 받을 수 있는 통합이어야 성공할 수 있다. 그렇지 못하면 통합신당은 존재의 이유가 없다.
[사설] 국민의당·바른정당, 일치된 정책 노선 제시가 먼저다
입력 2018-01-03 1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