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10곳 중 7곳은 올해 노사관계가 지난해보다 불안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236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2018년 노사관계 전망 조사’를 한 결과 응답 기업의 72.8%(훨씬 불안 20.7%, 다소 불안 52.1%)에서 올해 노사관계가 지난해보다 불안해질 것으로 예상했다고 3일 밝혔다. 지난해 같은 조사보다 불안해질 것이라는 응답이 4.7% 포인트 늘었다.
노사관계 불안 요인(중복 응답)으로는 통상임금, 휴일근로중복할증 등 노사관계 현안을 둘러싼 법적 분쟁(24.8%)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노동계 기대심리 상승과 투쟁 증가(19.0%), 정부의 노동권 보호 강화정책 추진(17.8%), 정치권의 노동계 우호적 의정활동(16.0%),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기업의 지급 여력 감소(13.9%) 등을 들었다.
가장 불안할 것으로 전망한 분야는 협력업체 및 사내도급(31.6%)이었다. 금속(13.7%), 서비스 및 유통(7.3%), 건설 및 화물(6.6%)이 뒤를 이었다.
올해 임금단체협상의 쟁점은 임금 인상(35.8%), 근로시간 단축과 인력 충원(18.4%), 복리후생제도 확충(11.9%), 임금체계 개편(10.5%)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기업들은 국내 단체교섭 관행 중 가장 시급히 개선돼야 할 사항으로 경영상황을 고려하지 않는 과도한 요구(46.5%)를 지적했다. 이밖에 경제 활성화를 위한 최우선 정부 정책 과제를 묻는 질문에는 근로시간 단축 부담 완화가 1순위로 꼽혔다. 최저임금제도 개선, 임금체계의 합리적 개편, 고용유연성 제고 순으로 응답이 많았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
“올 노사관계 작년보다 불안” 경총 회원사 72.8%가 전망
입력 2018-01-03 1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