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가 다스 실소유주” 진술
참고인 속속 나와… 상황 변해
김경준의 140억 다스 반환에
靑·외교부·국세청 개입 의심
김재수 前 총영사 조사 불가피
10년 전 자동차부품업체 다스를 수사했던 검찰과 정호영 특별검사팀은 모두 “다스를 이명박(MB) 소유로 볼 만한 증거가 없다”고 발표했다. 다스는 김경준 전 BBK투자자문 대표에게 사기를 당한 피해자일 뿐 MB와는 무관하다고 선을 그었다. 당시 수사팀 관계자는 “실소유주라면 뭔가 흔적이 있어야 하는데 아무런 흔적이 없었다. ‘지금 상황과 달리’ 당시 우리 판단은 그랬다”고 했다.
최근 다스 실소유주 논란이 다시 점화된 건 이명박 전 대통령이 재임 시절 김 전 대표에게 외압을 가해 다스가 투자금 140억원을 돌려받았다는 의혹이 일면서다. 당시 수사팀 관계자가 말한 ‘바뀐 상황’이란 이를 얘기한다.
김 전 대표는 미국 검찰에 체포되기 직전인 2003년 1500만 달러를 스위스 은행에 예치했다. 미 연방정부와 스위스 정부는 이를 불법 자금으로 규정하고 계좌를 동결했다. 그러나 2011년 2월 1일 140억원이 다스 계좌로 송금된다.
BBK 사건 피해자인 장용훈 옵셔널캐피탈 대표는 140억원 반환 배후에 이 전 대통령과 김재수 전 LA총영사 등이 있다고 보고 이들을 직권남용 혐의로 고발했다. 현재 이 사건은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1부(부장검사 신봉수)에서 수사 중이다.
10년 전 특검 수사 때와 달리 이 전 대통령이 다스 실소유주라고 진술하는 참고인들이 속속 나오고 있다. 실소유주를 가리는 데는 다스 BBK 투자금 반환 문제가 핵심 열쇠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다스와 관련이 없다던 이 전 대통령이 다스 투자금 회수에 청와대를 동원했다면 얘기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검찰은 다스의 BBK 투자금 회수에 청와대가 외교부, 국세청 등을 움직였을 것으로 의심한다. 검찰은 지난달 다스 측과 청와대 사이에 문서를 팩스로 보내는 심부름을 했던 이상은 다스 회장의 18년 운전기사 김종백씨를 불러 조사했고, 최근엔 MB정부 청와대 관계자들에 대한 소환 조사를 시작했다.
140억원 반환 과정에서 실무를 주도한 것으로 알려진 김 전 총영사에 대한 조사도 추진 중이다. 검찰은 미국에 체류 중인 김 전 총영사를 조사하기 위해 다방면으로 접촉을 시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다스가 이 전 대통령 아들 시형씨 위주로 재편되는 상황도 유심히 지켜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스 지분이 전혀 없는 시형씨는 최근 다스 해외 법인과 자회사 대표 또는 이사로 올랐다.
다스 비자금 의혹 수사 전담팀은 2일 일본에 체류 중이던 김성우 전 다스 사장이 지난 연휴 기간 귀국한 사실을 확인하고 출국금지 조치했다.
황인호 신훈 기자 inhovator@kmib.co.kr
‘다스 수사’ 핵심은… ‘140억 반환’ MB 개입 여부
입력 2018-01-03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