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公, 무기계약직 1288명 정규직 전환

입력 2018-01-02 05:02

서울교통공사 노사가 무기계약직 전원을 정규직으로 전환키로 합의했다. 서울교통공사가 정규직 신호탄을 쏘아 올린만큼 박원순 시장의 ‘노동존중특별시’ 추진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교통공사 노사는 오는 3월 1일자로 무기계약직 1288명 전원을 정규직으로 일괄 전환키로 합의했다고 1일 밝혔다. 유사직무의 경우 기존 정규직과 같은 직종을 부여하고 다른 업무에 대해서는 직종이 신설된다. 2016년 구의역 스크린도어를 정비하던 김모(당시 19세)군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외주업체 소속에서 직접고용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된 보수원의 경우 직종이 신설된다. 전동차 검수지원직은 차량직으로 통합된다. 이들 임금 수준은 동일하게 적용된다.

노사 합의는 새해를 하루 앞둔 12월 31일 극적으로 타결됐다. 지난 9월부터 노사는 자율교섭을 원칙으로 노사회의체(TF)를 구성해 논의를 진행했다. 하지만 노노(勞勞)갈등이 불거졌다. 특히 입사 4년 미만 청년 직원들은 ‘공정 경쟁을 통한 정규직 전환’을 요구했다. 높은 경쟁률을 뚫고 채용된 정규직과 전환된 직원들이 동등한 대우를 받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반면 무기계약직 대표들로 구성된 업무직협의체는 ‘차별 없는 정규직 전환’을 요구해왔다. 이 과정에서 서울교통공사 게시판에 무기계약직에 대한 원색적인 비난과 인신공격이 이어지면서 업무직협의체는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내기도 했다.

합의안에는 3년 이하 무기계약직의 경우 ‘7급 보’를 신설해 직위를 부여하고 3년 이상된 직원에게는 7급 직위를 주기로 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근무 기간 경과를 통해 정규직과 무기계약직 간 갈등을 줄인다는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협의 과정에서 김태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이 일반직원 대표와 업무직원 대표를 차례로 만나 의견을 청취하는 등 직원 간 갈등을 조정하는 노력을 기울였다”고 설명했다.

박 시장은 지난 7월 서울시 ‘노동존중 특별시 2단계’ 7대 실행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시 투자·출연기관 11곳 무기계약직(약 3000명)을 이달부터 정규직으로 전환한다는 내용이었다. 서울교통공사 노사 합의가 당초 예상보다 지연되긴 했지만 최대 투자기관이자 무기계약직 수가 가장 많은 만큼 다른 투자·출연기관의 정규직 전환 협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박 시장은 “서울교통공사 무기계약직 문제는 우리 사회 오랜 숙제로 남아있던 비정규직 차별 문제를 해결하는 상징이었다”며 “양측이 자율적 합의를 이끌어 낸 점을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