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800~3100 찍는다”… 2018 증시 전망

입력 2018-01-01 05:00

기업 호실적 상승 동력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따라
코리아 디스카운트도 완화
하반기로 갈수록 리스크↑
美금리·반도체 성장세 변수

2018년에 ‘코스피 3000 시대’가 열릴까. 전문가들은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자산 축소, 반도체 업종의 성장세 둔화 등 위험요인에도 불구하고 증시 상승세가 전년에 이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금융투자사들은 새해 코스피지수 상단을 2800∼3100선으로 전망했다. 신한금융투자, 교보증권이 연중 최고점을 2800선으로 예상하며 가장 보수적인 전망치를 내놓은 반면 삼성·대신·KB증권은 코스피지수가 3000선을 넘을 것으로 봤다.

코스피지수 상승세의 가장 큰 동력원으론 기업 실적이 꼽혔다. 올해 글로벌 경기가 지난해의 회복세를 이어가 국내 기업도 실적 호조세가 이어진다는 얘기다. 오태동 NH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31일 “220개 국내 기업의 2018년 순이익 증가율은 11.4%로 지난해(56.1%)보다는 낮아지지만 순이익은 161조9000억원을 달성하며 실적 레벨 자체는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낮은 배당수익률 등 외국인의 국내 증시 투자를 방해했던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완화된다는 점도 코스피지수 상승 요인이다. 윤희도 한국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새해에는 스튜어드십 코드가 본격적으로 도입되면서 배당과 자사주 매입 등 주주환원에 대한 시장의 요구가 더욱 강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문재인정부의 재벌개혁 일환으로 대기업의 지배구조가 개선되고 배당우호정책이 추진되면 국내 주식시장 전체 가치가 높아진다는 분석이다.

다만 하반기로 갈수록 글로벌 통화정책의 불확실성 등 코스피지수를 끌어내릴 위험요소가 늘어날 전망이다. 올해 미국이 3∼4차례 기준금리를 인상할 전망인데, 금리가 오른 만큼 시중에 풀린 자산이 줄어들면서 증시 주변 수급상황이 악화될 수 있다. 특히 한국과 같은 신흥국의 경우 외국인의 위험 자산 선호가 줄면서 투자금이 빠지기 더 쉽다. 예·적금 금리 상승에 따라 증시 내 돈이 예금 상품으로 대거 옮겨갈 가능성도 있다. 또 증시 상승세를 이끌던 국내 IT산업이 중국의 ‘반도체 굴기’로 위축될 수 있다는 점도 지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전문가들은 새해에는 업종별 쏠림현상이 완화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IT의 주도력은 유지되는 가운데 유통, 화학 등 중국 소비주나 정부정책 수혜주로 온기가 확산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책 수혜주로는 바이오 업종, 신재생에너지 등이 꼽혔다. 정부가 이달 발표할 ‘코스닥시장 활성화 대책’도 코스닥 종목 활성화로 이어질 전망이다.

안규영 기자 kyu@kmib.co.kr, 그래픽=이석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