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세계 10대 서비스 수출 강국이 되기 위해 2022년까지 글로벌 서비스 수출 선도기업 100개를 육성한다. 이를 위해 수출 바우처 신설, 무역보험 개편 등 수출 전 과정을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서울 종로구 무역보험공사에서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 주재로 ‘서비스산업 해외진출 민·관 협의회’를 열고 한국 서비스업의 수출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중장기 정책방향 및 세부 추진과제를 논의했다.
정부가 발표한 ‘서비스 해외진출 추진전략’에 따르면 2022년까지 글로벌 서비스 수출 선도기업 100개사를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서비스 수출 생태계를 조성한다. 스타트업 기업은 미국 아마존웹 비스나 일본 케이디디아이(KDDI) 등 글로벌 기업의 스타트업 지원 수요를 연계하는 서비스융합 스타트업 인큐베이팅을 신설한다. 아울러 성장기반 구축을 위해 글로벌콘텐츠 투자펀드(400억원), 한국의료 글로벌진출펀드(500억원) 등 특화펀드를 조성한다.
수출지원 시스템도 전면 개편한다. 통합무역정보포털에 서비스 수출 유관기관 데이터베이스를 연계해 심층정보를 제공한다. 수출기업이 수출 컨설팅과 해외 마케팅 등 필요한 지원을 받는 수출바우처 사업도 유망 서비스기업까지 확대한다.
서비스 수출의 해외진입장벽을 제거하기 위해 자유무역협정(FTA)도 적극 활용한다. 우선 한·중 FTA 서비스·투자 후속협상을 통해 의료, 법률, 문화, 관광 등 시장 개방을 모색한다.
정부는 이번 전략을 추진할 경우 서비스산업 수출 규모가 지난해 17위에서 2022년 세계 10위인 150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세종=서윤경 기자
“서비스업 수출 경쟁력 Up” 글로벌 기업 100개 키운다
입력 2017-12-28 1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