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정부의 한·일 위안부 합의에 이면합의가 있었다는 정부 발표가 나오자 시민단체들이 합의 폐기를 촉구하고 나섰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와 정의기억재단 등 시민단체는 27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15년 체결된 12·28 한·일 위안부 합의를 폐기하고 화해·치유재단을 해산할 근거가 명확해졌다”며 “정부는 더 이상 합의 무효화를 미뤄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정대협은 위안부 합의 검토 태스크포스(TF)의 결과 보고서에 대해 “그간 피해자들과 지원단체가 제기한 문제들이 구체적으로 검토·조사됐다”면서도 “일본의 ‘책임통감’이라는 표현을 진전으로 본 건 TF의 자의적 평가일 뿐”이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최나현 평화나비 연대사업국장은 “협상과정에 피해자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고 위안부 문제를 인권·평화 문제가 아닌 일반적 외교와 실리의 문제로 다뤄왔음이 명백히 드러났다”고 비판했다.
안신권 나눔의집 소장은 전화 통화에서 “피해 할머니들에게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만큼 정부가 속도를 내 피해자 의견이 최대한 반영된,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와 배상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임주언 손재호 기자 eon@kmib.co.kr
정대협 “충격과 분노… 당장 한·일 합의 폐기하라”
입력 2017-12-27 18:48 수정 2017-12-27 2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