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 우려 큰 전국 500개 건설현장 타워크레인 ‘가짜 연식’ 점검한다

입력 2017-12-27 05:03
전국타워크레인설·해체노조원들이 26일 국회 앞에서 타워크레인 사고를 막기 위한 대책 마련을 촉구하며 피켓 시위를 하고 있다. 최현규 기자

국토교통부는 27일부터 전국의 모든 타워크레인을 안전점검한다고 26일 밝혔다. 지난달 ‘타워크레인 중대재해 예방대책’을 내놓은 뒤에도 경기도 용인과 평택 등에서 사고가 잇따라 발생한 데 따른 추가 조치다. 올해 들어 전국에서 총 7건의 타워크레인 사고로 근로자 19명이 사망했다.

타워크레인 점검은 내년 1월 19일까지 국토부 고용노동부 지방자치단체가 검사기관이나 노동조합 등과 함께 사고 우려가 있는 전국 500개 건설 현장에서 실시한다. 점검 대상은 평택 사고 타워크레인과 동일 기종(프랑스 포테인사)이 설치된 현장과 안전이 우려되는 위험현장 500곳이다. 설치된 타워크레인의 허위연식 등록 여부와 안전성 등을 집중 점검할 예정이다.

또 최근 사고가 발생한 타워크레인의 정보를 건설협회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에 제공해 원청업체가 설치 전 비파괴 검사를 자체 시행토록 하고 이행 결과를 주기적으로 점검키로 했다.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추가 안전 대책도 마련할 계획이다. 전 생애에 걸쳐 타워크레인의 사용·사고 이력을 관리하기 위해 장비이력 관리 시스템을 도입한다. 근로자들이 작업 과정에서 발견하는 장비결함 징후를 신고할 수 있도록 타워크레인 안전콜센터도 운영한다. 또 원청의 관리 책임을 강화하기 위해 LH 등 산하기관의 공사현장에 타워크레인 설치·해체 작업이 있을 경우 현장안전 관리자와 감리도 배치한다.

한국노총 전국타워크레인설·해체노동조합은 이날 국회 앞에 모여 생존권 사수 결의대회를 열었다. 300여명이 모인 집회에서 노조원들은 노후·불량 장비 사용 중단을 촉구했다. 정회운 노조위원장은 “노후장비 사용, 일몰 이후 작업, 특별 안전교육 미실시 등 나쁜 작업을 규탄한다”며 “우리의 요구가 관철되지 않으면 내년 1월부터 작업을 전면 거부할 것”이라고 말했다.

타워크레인 중대 재해사고 예방 예산을 42억원 삭감한 국회도 성토했다. 이상원 한국노총 비정규직연대회의 의장은 “올해만 19명이 숨지는 중대 사고가 발생했는데 예산을 삭감한 국회는 어느 나라 국회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세종=서윤경 기자, 이형민 기자 y27k@kmib.co.kr, 사진=최현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