렉스 틸러슨(사진) 미국 국무장관이 북한이 추가도발을 할 경우 다음 달 캐나다에서 열리는 한국전쟁 참전국 외교장관 회의와 함께 참전국 국방장관 회담도 개최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국제적 공조를 통해 북한을 군사적으로도 압박하는 효과를 거두겠다는 포석으로 읽힌다.
다음 달 16일 캐나다 밴쿠버에서는 미국과 캐나다 공동주최로 한국전쟁 당시 남한에 파병한 16개국과 함께 한국, 일본, 인도가 참여하는 19개국 외교장관 회담이 예정돼 있다.
틸러슨 장관은 지난 15일 뉴욕에서 열린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과의 회담에서 북한의 추가도발 시 국방장관 회담 개최 의향을 공개했다고 교도통신과 도쿄신문 등이 26일 보도했다. 연쇄적인 회담으로 북한에 대한 ‘외교·군사적 포위망’을 형성하는 심리적 효과를 꾀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틸러슨 장관은 국방장관 회담 역시 궁극적으로는 외교적 해법을 이끌어내기 위한 압박의 일환이라고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북한이 도발하지 않을 경우 대화는 여전히 유효하다는 입장도 밝혔다고 일본 언론은 전했다.
틸러슨 장관은 또 외교장관 회의 때 국제원자력기구(IAEA) 관계자를 초청하겠다는 뜻도 나타냈다. 이는 북핵 협상이 잘 될 경우 이란 핵협상과 마찬가지로 IAEA를 통해 검증 절차를 밟아갈 수 있음을 내비친 것으로 해석된다.
일본 언론은 미국 주도로 한국전쟁 참전국 국방장관 회담이 열릴 경우 당시 북한에 파병해 유엔군과 맞서 싸웠던 중국이 반발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
“한국전쟁 참전한 16개국 내달 국방장관 회담 검토”
입력 2017-12-26 19:04 수정 2017-12-26 2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