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과 저출산·고령화 시대에 대응해 정부의 공식 직업분류체계가 대폭 바뀐다. 개편된 직업분류체계는 고용 관련 통계 및 일자리 정책에 반영될 예정이다.
고용노동부는 일자리 정보분류체계인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2018’을 개정·고시하고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고 25일 밝혔다. 2007년 3차 개정 이후 11년 만이다. 고용부는 지난 4∼5월 사용자 인식조사를 비롯해 이번 개편을 위한 각종 자문을 받아왔다.
고용부는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연구직 및 공학기술직’을 대분류 항목으로 신설했다. 인문·사회과학, 자연·생명과학, 정보통신, 건설·채굴, 제조 등 5개 분야 연구·개발직 또는 공학기술직이 중분류 항목으로 포함된다.
또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수요 확대와 직능 유형을 고려해 중분류 항목이던 ‘보건·의료직’을 대분류 항목으로 승격시켰다.
육아 도우미와 간병인 등 ‘돌봄 서비스직’을 신설해 미용·여행·숙박·음식·경비·청소직 대분류 항목 아래에 뒀다. ‘데이터 전문가’ ‘반려동물 미용 및 관리 종사원’ ‘공연·영화 및 음반 기획자’ ‘요양보호사 및 간병인’ 등 최근 직업구조 변화를 반영해 직종을 신설 또는 개정했다.
세종=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
4차 산업혁명 시대 대응, 정부 직업분류 체계 개편
입력 2017-12-25 19:18 수정 2017-12-25 2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