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건축물 중 지진에 안전하도록 내진설계가 된 비율은 100곳 중 13곳 미만인 것으로 조사됐다. 건축물 면적으로는 38%로 이 중 43.1%가 공동주택인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연구원은 경기도 시추조사자료 5만2658공을 검토해 지진 취약부지를 분석한 결과 수도권 인접 지역들이 지진 발생 시 상대적으로 지반운동이 크게 증폭할 가능성이 있어 종합적인 정밀구역화 및 취약지역의 집중적 내진보강이 필요하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조사 결과, 도내 31개 시·군 중 10개 시·군의 내진설계 건축물 비율이 10% 미만에 그쳤고, 도내 평균은 12.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진설계율이 가장 높은 오산시가 24%였으며, 양평, 여주, 연천의 경우 4% 미만으로 조사됐다.
공공시설물의 경우 병원 건축물의 59.3%, 일반 공공건축물의 51.1%가 내진설계가 적용됐다. 그러나 공공건축물 중 내진설계 적용대상이 아닌 3층 미만 건축물이 35.3%여서 3층 미만 건축물에 대한 내진 성능평가 및 내진 보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대피소는 지난 2월 현재 총 1488개소(실내구호소 242, 옥외대피소 1246개소)로 전국 대피소의 약 15.6%에 해당된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대피소를 보유하고 있지만 인구수 비례에 맞춰 대피소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수원=김연균 기자 ykkim@kmib.co.kr
경기도내 내진설계 건축물 12.3% 불과
입력 2017-12-24 19:19 수정 2017-12-28 1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