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성완종 리스트’ 사건의 굴레에서 완전히 벗어났다. 홍 대표는 대법원의 무죄 확정 판결로 정치 인생 최대 고비를 넘겼다. 마지막 족쇄를 풀어헤친 홍 대표의 한국당 장악력은 더욱 강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친홍(친홍준표) 세력도 한국당의 주류 자리를 확고하게 다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홍 대표의 ‘친홍 체제’ 구축 드라이브를 사당화(私黨化)로 비판하는 움직임들이 변수다.
홍 대표는 22일 대법원 선고 직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했다. 이제는 홀가분해졌다는 표정으로 웃음을 감추지 않았다.
홍 대표는 “음해와 질곡에서 벗어났기 때문에 이제 한국 보수우파의 중심으로 이 나라 자유 대한민국을 지키는 데 전력을 다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부 검사들이 ‘성완종 리스트’ 수사 당시 증거를 조작했다고 주장했다. 홍 대표는 “요즘 검사들은 사건을 수사하는 것이 아니라 사건을 만들고 있다”며 “공판 과정에서 확정된 검사의 증거조작 혐의는 반드시 책임을 묻겠다. 그것은 증거위조죄”라고 강조했다.
이어 “조직 혁신을 마무리하고 정책 혁신을 통해 한국당의 새로운 모습을 선보일 것”이라며 “제2혁신위를 구성해 중산층과 서민을 위한 정당으로 거듭나는 정책혁신을 이루겠다”고 말했다. 또 “현역 의원을 당협위원장으로 선출하는 것은 정치적 관행”이라고 밝혔다. 향후 조직강화특별위원회를 통해 김무성 의원을 포함한 바른정당 복당파 의원들이 지역구의 당협위원장을 맡을 것임을 시사했다.
홍 대표는 “곁다리 국민투표는 맞지 않고, 절대 불가하다”며 내년 지방선거에서 개헌 국민투표를 동시에 실시하는 방안을 일축했다. 그러면서 “개헌은 대통령 선거보다 더 중요한 문제”라며 “지방선거 이후 (내년) 연말까지 개헌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완구 전 국무총리도 대법원의 무죄 확정 판결로 ‘성완종 리스트’ 사건의 올가미에서 벗어났다. 이 전 총리도 선고 직후 검찰을 비난했다. 그는 “검찰이 법원에 제출했던 증거자료를 재판이 끝나기 전에 조작하고 폐기했다”며 “당시 책임자가 문무일 검찰총장이다. 수사 책임자로서 여기에 대한 답을 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충청권의 맹주였던 이 전 총리가 명예회복을 위해 정치적 재기를 시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홍 대표도 “이 전 총리가 명예회복을 원하면 당이 돕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다른 당들은 판결은 존중하면서도 홍 대표에 대해 비판적인 논평들을 냈다. 국민의당은 “홍 대표는 무죄판결을 받았지만, 뇌물수수 의혹을 전혀 해소하지 못한 점을 명심하고 자중하라”고 촉구했다. 바른정당은 “대법원 판결은 증거불충분이라는 것이지, 실질적으로 홍 대표의 결백을 입증한 것은 아니다”고 비판했다. 정의당은 “판결을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고 했다.
하윤해 이종선 기자 justice@kmib.co.kr
굴레 벗은 홍준표 앞날은… 한국당 ‘친홍체제’ 탄력
입력 2017-12-22 18:06 수정 2017-12-22 2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