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경제계 신년회에 안 가는 문 대통령

입력 2017-12-22 17:44
문재인 대통령이 다음달 3일 대한상공회의소 주최로 열리는 경제계 신년인사회에 참석하지 않겠다고 한 것은 어리둥절하다. 1962년 시작돼 50년 이상 지속된 이 행사는 정·재계 인사와 주한 외교사절 등 1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통령이 새해 경제정책 방향을 밝히고 덕담을 나누는 오래된 관행이다. 북한의 아웅산 테러 이후인 1984년과 노무현 대통령이 직전에 재계 인사를 따로 면담했다는 이유로 한명숙 총리를 대신 참석케 한 2007년, 탄핵으로 대통령이 직무정지됐던 올해 단 세 차례를 제외하면 매년 대통령이 참석하던 행사다.

청와대가 밝힌 대통령의 불참 이유는 납득하기 어렵다. 각계 부문별 신년인사회를 다 갈 수 없는 상황이라고 하지만 별로 합리적으로 들리지 않는다. 역대 대통령들이 경제계 신년회에 참석한 것은 민관이 합심해 경제 살리기에 매진하자는 상징적 의미가 크다. 청와대는 ‘기업 패싱’이나 ‘재계 홀대’가 아니라고 부인했지만 친노조 정책을 펴는 정부가 의도적으로 기업들과 거리를 두는 것으로 비칠 수밖에 없다.

현 정부 들어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이나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법인세 인상 등으로 기업들의 고충이 크다. 그럴수록 더 많이 듣고 소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경제성장의 주체는 기업이다. 양질의 일자리를 늘리고 가계소득을 높이는 것도 기업들의 몫이다. 소득주도성장이든, 혁신성장이든 문재인정부의 성공을 위해선 기업들의 협조가 절실한데 기업을 등한시하는 행태는 바람직하지 않다. 일부 관료들의 기업관은 우려스러울 정도다. 청와대 경제보좌관이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일분일초를 다투는 기업인들과의 약속을 일방적으로 펑크 내고 하수인 부리듯 하는 모습은 보기 안 좋다. 이 정부는 그러면서 노조에는 한없이 끌려다니고 있다. 민노총이 며칠째 여당 대표실을 불법 점거하고 농성을 하는 데도 꼼짝을 못하고 있으니 앞으로 어떻게 하려는지 걱정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