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구 금융위원장 “금융사 노동이사제 도입 사회적 합의 먼저 있어야”

입력 2017-12-21 19:54 수정 2017-12-21 23:53
뉴시스

최종구(사진) 금융위원장이 민간 금융회사에 노동이사제(근로자 추천 이사제)를 도입하려면 사회적 합의가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차명계좌에 과징금을 부과하는 문제는 입법으로 해결할 과제라고 선을 그었다.

최 위원장은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금융행정혁신위원회의 최종 권고안을 최대한 충실히 이행하겠다”면서 “금융 공공기관 노동이사제 도입 문제는 범정부 차원에서 검토하는 만큼 그 방향성이 정해지면 그대로 적용하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경영진 의사결정이 좀 더 민주적으로 되려면 이사회 구성원을 다양하게 할 필요가 있다는 도입 취지에 당연히 같은 생각이지만 노사문제 전반에 사회적 합의를 이루려는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이건희 회장 차명계좌에 과징금을 매겨야 한다는 혁신위 권고에 대해 “취지에 공감하지만 입법·정책적으로 논의해서 결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말했다. 그는 “입법을 하면 모든 차명계좌에 과징금을 부과해야 하는데 아이 이름으로 만든 차명계좌, 동창회 이름 차명계좌도 처벌 대상이 되는 부작용이 있다”고 설명했다.

최 위원장은 금융지주회사 지배구조 개선을 놓고 금융권에서 반발하는 이유를 묻자 “한두 명 개인의 반발이 아닐까 싶다. 지배구조 개선에 중점을 두는 것이지 어느 개인의 진퇴를 염두에 두는 게 아니다”고 답했다. 금융위가 하나금융투자의 하나UBS운용 인수 심사를 중단한 건 최고경영자(CEO) 연임문제와 관계가 없다고 했다. 금융감독원에서 하나UBS운용의 대주주 변경 승인 심사를 하던 중에 최대주주와 관련한 검찰 수사가 진행 중임을 확인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찬희 나성원 기자 c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