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소통채널은 군사 당국”
영국·호주·캐나다 등
軍 당국과 일정 조율 필요
북한 대화국면 전환 땐
일각서 ‘훈련 축소론’ 거론
국방부 관계자는 20일 “한·미 연합군사훈련 일정 조정은 성공적인 올림픽 개최를 위한 정치적 결정”이라며 “훈련을 중단하는 게 아니라 일정기간 뒤로 미루는 것인 만큼 조정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연합사도 “평창 동계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원하며 이를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을 동맹국들에 약속했다”고 밝혔다. 이어 훈련 연기 논의에 대해 “동맹의 결정을 따를 것을 확인한다”면서 “이러한 결정을 적절한 시기에 발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미 군 당국은 훈련 일정을 계속 조율 중이다. 청와대는 윤영찬 국민소통수석 명의의 공지를 통해 “한·미 연합훈련 연기 문제의 소통채널은 한·미 군사당국”이라고 밝혔다.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이 한·미 연합군사훈련 일정에 대해 “어떠한 계획도 알지 못한다”고 언급한 데 대한 대응 차원이다. 틸러슨 장관이 국방 사안을 즉각 파악하지 못했을 수도 있다는 의미다.
하지만 이미 정해져 있는 미군의 내년 훈련 일정을 변경하는 절차는 꽤 복잡하다고 한다. 정부 소식통은 “미군은 내년에 태평양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훈련 일정이 확정돼 있다”고 말했다. 통상적으로 매년 3월 실시되는 키리졸브(KR)·독수리(FE) 훈련이 한 달 정도 미뤄질 경우 미군이 계획했던 일본과 호주 등 다른 나라들과의 훈련 일정도 한꺼번에 뒤로 미뤄야 한다는 것이다.
한·미 군 당국 간 협의만으로 훈련 일정이 조정되는 것도 아니다. 키리졸브·독수리 훈련에는 한·미 양국 군 외에도 다국적 연합전력이 참가하기 때문이다. 지난 3월 실시된 키리졸브 훈련에는 유엔군사령부를 구성하는 영국 호주 캐나다 덴마크 프랑스 등 5개국 군이 참가했다. 군 관계자는 “미군뿐 아니라 다른 여러 군 당국과도 일정 조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북한이 평창 동계올림픽에 참가하고 도발을 일정기간 멈추는 등 대화 국면으로 전환될 경우 한·미 연합군사훈련 축소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다. 군 일각에선 ‘훈련 축소론’은 한·미 연합훈련 때마다 위협 수위를 높이는 북한의 전략에 말려들어가는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은 키리졸브·독수리 훈련은 연례적이고 방어적인 훈련이라는 입장이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한·미연합훈련 연기, 생각보다 복잡하네… 각국 일정 연쇄 조정
입력 2017-12-21 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