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지역경제 활성화 4909억 투입, 5년간 ‘지역스타기업’ 1000개 지원

입력 2017-12-20 20:01 수정 2017-12-20 21:55

정부가 내년 지역경제 활성화에 총 4909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지역특화산업 육성사업은 효율성 제고를 위해 기존 63개에서 48개로 조정한다. 또 5년간 ‘지역스타기업’ 1000개를 집중 지원해 그 중 200개를 세계적 강소기업으로 키우고 양질의 일자리 6000개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는 20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지역경제위원회를 개최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주요사업 및 예산을 의결했다. 이번 지역경제위는 중기부 출범 이후 양 부처가 공동 개최하는 첫 회의다.

우선 지역특화산업 육성사업에는 중기부 예산 1904억원과 지자체 예산 1065억원을 합쳐 48개 산업에 2969억원이 들어간다. 산업 당 평균 62억원이 투입되는 셈이다. 사업을 개편하면서 전반적으로 융·복합 산업 비중을 확대했다. 6100여개 지역기업이 연구·개발(R&D), 시제품 제작, 컨설팅 및 기술지도 지원을 받는다. 이를 통해 신규고용 2500명, 사업화매출액 4500억원이 예상된다.

경제협력권 육성사업으로는 지역의 미래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6대 신산업 14개 프로젝트에 1805억원이 투입된다. 전기·자율차, 스마트·친환경선박, 프리미엄 소비재, 첨단 신소재 산업이 대상이다. 기존에 지역 간 산업단위 협력으로 사업이 진행됐다면 내년에는 프로젝트별 목표 달성을 위한 협력으로 방식을 개편한다.

커뮤니티비즈니스 활성화 사업도 내년부터 135억원을 들여 새로 추진한다. 협동조합과 마을기업 등 사회적경제 기업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사회적경제 기업은 지역의 일자리·소득 창출을 최근 주도하고 있다. 정부는 사회적경제 기업의 R&D 및 디자인·시제품·판로개척 등 사업화를 집중 지원한다.

이인호 산업부 차관은 “산업부의 업종별 산업육성정책과 중기부의 중소기업 지원정책을 연계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조봉환 중기부 중소기업정책실장은 “지역이 국가 혁신성장 달성의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 그래픽=이석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