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 발표 ‘2016∼2026 인력수급’ 전망 보니
지속된 저출산의 여파로
2021년 이후 청년인구 급감
취업난 완화될 수 있지만
고학력화-전공에 따른
미스매치 당분간 계속될 듯
저출산 지속으로 청년층이 감소해 청년 졸업생이 시장 인력 수요보다 부족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그러나 고학력화와 전공에 따른 ‘일자리 미스매치’는 당분간 해소되기 어렵다. 특히 대졸자 중 공대를 제외한 인문·사회, 자연계열 등은 여전히 시장 수요가 졸업생(공급)보다 적어 고학력 졸업자 간 명암은 더 짙어질 전망이다. 같은 기간 급격히 늘어날 65세 이상 노인들을 위한 일자리 정책도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고용노동부가 19일 국무회의에서 발표한 ‘2016∼2026년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15∼64세 생산가능인구는 내년을 기점으로 감소세로 돌아서 10년간 218만명 줄어든다. 특히 2021년 이후 20대 청년 인구가 급격하게 줄어들 전망이다. 이 때문에 2015년 이후 25∼29세 청년 인구가 증가하면서 극심해진 취업 경쟁이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도 나온다.
그러나 ‘좋은 일자리’가 한정돼 있고 고학력화로 인해 전문대 이상 졸업생 공급은 당분간 시장 수요보다 많을 전망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10년간 고졸자 구인 인력 수요는 30만명으로 신규 인력 공급(18만8000명)보다 11만명 많지만, 전문대(55만명)와 대학원(30만명) 졸업생은 초과 공급이 예상된다. 대졸자 역시 전체적으로는 졸업생보다 시장 수요가 10만명가량 더 많을 전망이지만, 이는 공학계열에만 국한된 현상이다. 인문·사회계(5만1000명)나 자연계(5만7000명), 교육계(7000명) 등은 여전히 졸업생이 남아돌 것으로 전망됐다. 일자리 미스매치나 양극화가 더 심해질 것이라는 얘기다.
산업별로 보면 서비스업에서 일자리가 향후 10년간 179만명 늘어나 가장 많이 증가한다. 전통적으로 일자리 창출 업종이었던 제조업은 22만명 느는 데 그친다. 농어업과 교사 등 일자리도 줄어들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4차 산업혁명의 영향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있지만, 고용 양극화가 가속화될 것이라는 점에는 이견이 없다”고 밝혔다. 고용부 관계자는 “청년 일자리 문제는 근본적으로는 서비스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중소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 좋은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향후 10년간 급증하는 고령 인구 등을 경제활동에 끌어들일 수 있는 이른바 ‘노인 일자리’ 정책도 시급하다. 실제 15∼64세 생산가능인구는 감소하지만 같은 기간 65세 이상 인구 증가로 15세 이상 인구는 오히려 207만명 늘어날 전망이다. 노동인구의 고령화 현상이 심해지는 것이다. 고용부는 2년 인력 수급을 전망했을 때보다 고령화 속도가 눈에 띄게 빨라졌다고 밝혔다.
고용부 관계자는 “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와 기술 발전 등이 인력 수급 구조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면서 산업별·직업별로 큰 변화가 있을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또 “고령층이나 여성 등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계층에 대한 취업 지원과 사회안전망 강화 등 종합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글=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 그래픽=공희정 기자
일자리 미스매치… 향후 10년도 “문송합니다<문과라서 죄송>”
입력 2017-12-19 18:52 수정 2017-12-19 2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