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복지위 현안 보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가 19일 실시한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집단사망 사건 관련 현안보고에서는 정부의 ‘미숙한 대응’에 대한 의원들의 비판이 쏟아졌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의원들도 “과거와 다를 바 없다”고 쓴소리를 했다.
성일종 자유한국당 의원은 “서울지방경찰청이 사건 신고를 받은 후 3시간이 지나서야 정부 대응팀이 꾸려졌다”며 “대응팀을 꾸리는 데 3시간이나 걸리느냐”고 지적했다. 이어 “병원에서 아기가 4명이나 죽었는데, (추가 감염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병원은 의사와 간호사, 아이들을 차단하지 않았다”며 “몇 년 전 메르스 사태를 겪었음에도 (질병 대응 관련) 컨트롤타워가 전혀 작동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사건 발생 당시에는 감염보다는 의료사고로 인한 사망으로 판단했다”고 해명했다.
최도자 국민의당 의원은 “이대목동병원의 환아 관리가 총체적으로 부실했고, 보건복지부의 관리도 부실했다”며 총체적 감사를 요구했다. 이에 박능후(사진) 복지부 장관은 “종합 감사를 통해 제대로 원인을 밝혀내겠다”고 답했다.
여당 의원들도 정부 비판 대열에 가세했다. 정춘숙 민주당 의원은 “의료기관 내 사망사건 매뉴얼을 (찾아)보니 복지부 차원의 매뉴얼도 없다”고 비판했다. 같은 당 기동민 의원도 “다양한 전조가 있었음에도 엄정히 처리하지 못해 (결과적으로) 대형 사고를 방치한 게 됐다”며 “국민적 시각에서 보면 문재인정부는 조금 달랐으면 좋겠는데, 일 처리 과정을 보면 과거와 별반 다를 바 없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일갈했다.
박 장관은 현재 감염병 위주로 규정된 병원의 환자 발생 신고 의무 범위를 확대하고, 연내에 전국 신생아 중환자실 전수조사를 완료하겠다고 했다.
이번 사고로 사망한 신생아 4명 가운데 한 명은 ‘경증 구역’에 있다가 사고 당일 상태가 위독해져 ‘중증 구역’으로 옮겨졌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당초 병원과 정부의 설명과 배치되는 주장이다. 윤소하 정의당 의원은 “중증 구역뿐만 아니라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중환자실 전체 감염을 의심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최승욱 신재희 기자 applesu@kmib.co.kr
[신생아 집단사망] 여당도 “과거와 다를 바 없다”… 미숙한 정부 대응 비판 쏟아내
입력 2017-12-19 18:57 수정 2017-12-19 2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