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7개월간 정상회담 40여회 “헝클어진 외교 복원”

입력 2017-12-19 18:45
사진=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한반도 주변 4국과의 관계를 정상적으로 복원했다”며 올해 정상외교 마무리 소회를 밝혔다. 특히 중국 국빈방문에 대해서는 “중국 국민의 마음을 얻는 내실 있는 성과가 있었다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19일 청와대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취임 후 7개월 중 7개국을 방문하고 유엔총회, G20(주요20개국),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아세안+3 등 여러 다자협의에 참가해 정상회담만 40여회 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를 통해 정부 출범 때 물려받은 외교 공백을 메우고 무너지거나 헝클어진 외교 관계를 복원하는 등 시급한 과제들을 어느 정도 해결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방중 홀대 논란, 미국과의 대북 정책 이견 노출 지적에도 불구하고, 취임 이후 주요국과의 외교를 정상화했다는 자평이다.

문 대통령은 신북방·신남방정책을 통해 외교 지평을 유라시아와 아세안까지 확대한 점도 성과로 꼽았다. 문 대통령은 “우리 정부의 국정 목표인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를 실현하기 위한 협력 토대를 더욱 내실 있게 다진 것은 큰 수확”이라며 “또한 여러 다자 정상회의에서 한반도 평화 원칙과 사람 중심 경제와 같은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국제사회의 공감을 이끌어냈다”고 돌아봤다.

중국 방문에 대해서는 “무엇보다 우리 외교의 시급한 숙제를 마쳤다는 데 큰 의미를 두고 싶다”고 말했다.

사드(THAAD) 배치로 인해 경색됐던 양국 관계를 복원하고 경제 보복 조치 철회의 발판을 만들려 노력했다는 취지다. 문 대통령은 “한·중 관계의 전면적인 정상화를 위한 기틀을 확고히 하는 한편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등 중국 지도자들과 우의·신뢰를 돈독히 하고 중국 국민의 마음을 얻는 내실 있는 성과를 냈다”며 “경제협력 체제의 전면 재가동을 포함해 정치·안보 등 모든 분야의 교류협력을 정상적으로 추진해 나가기로 했고, 시 주석과의 핫라인도 구축하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향후 외교 전략으로는 실사구시의 실용 외교를 내세웠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