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이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조직 혁신 차원에서 발표한 당무감사의 후폭풍에 직면했다. 친박(친박근혜)계 중진을 비롯한 일부 당협위원장들은 18일 “홍준표 대표가 한국당을 사당화(私黨化)하고 있다”고 반발했다.
한국당은 이날 오전 예정됐던 최고위원회의를 취소하고 원내대책회의로 대체했다. 당무감사의 파장을 고려한 조치다. 홍문표 사무총장은 “당무감사위원들은 과거 이정현 대표,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 시절 임명된 분들로 홍 대표 체제에서는 한 명도 바꾸지 않았다”며 “(당무감사 결과와 관련해) 당에 흠집을 내거나 옳지 않은 언사를 자제하라”고 말했다. 친박계에 대한 정치보복 논란을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뜻이다.
하지만 당무감사 여진은 계속됐다. 당협위원장 직을 박탈당한 친박계 4선 유기준 의원은 기자회견에서 “이번 당무감사는 홍 대표 마음에 안 드는 인사들을 몰아내려는 당내 정치보복”이라며 “사당화에 굴하지 않겠다”고 주장했다. 그는 “대선이 끝난 지 8개월이 돼 가지만 당 지지율이 20%를 넘지 못하는 데 대한 반성부터 있어야 한다”고 홍 대표를 공격했다. 역시 당무감사에서 탈락한 구본철 박창식 신동우 전 의원 등도 기자회견에 동행했다. 류여해 최고위원도 페이스북에 “홍 대표는 여자를 무시하는 마초”라는 글을 잇달아 올리는 등 홍 대표를 맹비난했다.
앞으로 당협위원장 직을 박탈당한 인사들과 친박계가 ‘반홍(반홍준표) 전선’을 구축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다만 친박 핵심인 서청원 의원 측은 “지금은 (홍 대표와) 싸울 때가 아니다”며 “당의 명령을 수용하겠다”고 말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한국당 ‘물갈이 후폭풍’… 친박계 등 ‘反洪전선’ 구축 조짐
입력 2017-12-19 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