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산하 전략硏 제기
“평창까지 도발 자제하다
전격적 대화 제의 가능성
美 태도 보며 몸값 올리기
내년 3월부터 제재 효력”
북한이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를 위한 준비를 마치고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결단만 기다리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북한이 평창올림픽 기간 중 도발을 자제하다가 동계올림픽 종료 후 국면 전환을 목적으로 전격적인 대화 제의를 해올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국가정보원 산하 국책연구기관인 국가안보전략연구원(연구원)은 18일 ‘2018년 북한 정세 8대 관전포인트’ 자료에서 “북한은 평창올림픽 참가 여부에 대해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으면서 ‘몸값’을 올릴 것”이라며 “미국의 태도 등 한반도 정세를 주시하다가 한·미 연합 군사훈련 연기·축소 여부를 보고 (최종) 입장을 정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내다봤다.
이와 관련, 연구원 이기동 북한체제연구실장은 “(올림픽 참가 여부는) 김 위원장의 결심만 남은 것으로 안다. 따라서 불참보다는 참가 가능성을 높게 본다”고 말했다. 이 실장은 김일국 북한 체육상이 지난달 초 체코 프라하 국가올림픽위원회연합(ANOC) 총회에 참석한 사실을 언급하며 “북한이 나름대로 평창올림픽 참가에 대비해 준비를 마친 것으로 안다”고 부연했다.
북한이 평창올림픽 기간 중 고강도 도발을 벌일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원은 “북한은 평창올림픽 전까지 도발을 자제하다가 전술적 차원의 대화를 제안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평창올림픽 종료 후 한·미, 미·중, 미·러 관계를 이간하기 위한 기만적 목적으로 남북대화와 6자회담 재개를 전격 제안할 가능성도 있다.
이 실장은 “북한이 기만적 제의를 해오는 경우에도 받아들여야 하느냐는 문제가 제기될 것”이라면서 “상대가 전술적 차원으로 나온다면 우리도 마찬가지로 전술적 차원에서 대응하는 편이 좋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대화에 응했다가 여의치 않으면 끝낼 수도 있다. 또는 북측의 기만적 제안에 응하지 않는 것도 전술적 차원의 대응”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원은 내년 3월 이후 북한 경제가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내다봤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등 신규 대북 제재가 이 시기부터 효력을 발휘할 것이라는 예상에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김 위원장이 군부에 이어 경제 엘리트들에게 숙청의 칼날을 겨눌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연구원은 “대북 제재 영향으로 경제 상황이 크게 악화될 경우 책임전가 차원에서 경제부문 엘리트가 희생될 가능성이 있다”며 “박봉주 내각 총리와 안정수 노동당 경제담당 부위원장을 비롯한 당과 내각의 경제부문 엘리트가 표적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北 평창 참가, 김정은 결단만 남아… 출전 준비는 마쳤다”
입력 2017-12-18 18:13 수정 2017-12-18 2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