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패러다임 전환”
관련 예산 10% 이상 늘려
정부가 원자력 연구·개발(R&D)도 탈(脫)원전에 초점을 맞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18일 발표한 ‘미래원자력기술 발전전략’을 보면 원전 해체 기술을 확보하고 원전의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해 내년 687억원이 투자된다. 올해 600억원 대비 10% 이상 늘어난 액수다. 내년 원자력 분야 R&D 예산 2036억원의 3분의 1에 해당한다.
이진규 과기정통부 1차관은 “원자력 R&D가 에너지 전환 정책을 뒷받침하고자 이번 전략을 마련했다”며 “대학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역량을 결집해 국민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기술을 개발토록 원자력 R&D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원자력 분야의 종합적인 기술역량을 확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선 과기정통부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협력해 원전을 해체하기 위한 기반기술 38개와 상용화 기술 58개를 2021년까지 개발하기로 했다. 여기에는 내년 예산 중 138억원이 들어간다.
원전의 내진성능 강화와 중대사고 방지 및 리스크 평가 기술을 개발하는 등 원전의 안전을 강화하는 데에 내년 96억원을 투자한다. 아울러 사용후핵연료를 안전하게 운송하기 위한 밀봉용기를 개발하고, 방사성폐기물 관리를 위한 처분 관련 기술 개발도 정부가 지원한다.
원자력 기술을 의료 및 바이오 등 다른 분야에 확대해 활용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원자력의학원을 방사선기술 기반 연구중심병원으로 정해 2019년까지 동위원소 치료기술 개발 플랫폼을 구축하고 임상기술을 개발한다.
핵융합을 비롯한 미래에너지원을 확보하기 위해 ‘핵융합에너지원천기술개발사업’(가칭)을 2020년 신설하고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건설 사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한다는 방침도 세웠다. 또 원자력기술을 이용해 신산업을 육성할 수 있도록 하나로(대전), 방사선연구소(전북), 방사선치료 플랫폼(서울) 등 원자력 기반시설이 집적된 지역을 중심으로 ‘방사선 융복합 클러스터’를 조성키로 했다. 국내 연구로 및 중소형 원자로의 수출 지원도 강화키로 했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
원자력 R&D도 탈원전에 초점
입력 2017-12-18 19:18 수정 2017-12-18 2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