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앞 1100명 궐기대회
약사회 “부작용·오남용 초래
국민 건강권 위협” 주장
공공 심야약국 도입 촉구도
의약품 접근·편의성 측면
찬성 많아 계속 갈등 예고
집단이기주의 지적도 많아
의사들에 이어 약사들까지 거리로 나왔다. 약국이 아닌 편의점에서 파는 안전상비약을 늘리려는 정부 정책에 반기를 들고 집단행동에 나섰다. 약사들은 편의점 판매 약 확대가 소비자 부작용과 오남용을 초래해 국민 건강권을 위협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는 국민의 의약품 접근성과 편의성을 무시하고 약국의 수익 감소만 우려한 집단이기주의라는 지적도 일고 있다.
대한약사회는 17일 오후 청와대 앞 서울 종로구 효자치안센터 인근에서 편의점 판매약 품목 확대 저지를 위한 전국 임원 궐기대회를 열었다. 영하의 추운 날씨에도 전국에서 약사 1100여명(주최 측 추산)이 참여했다. 이들은 ‘편의점 약 판매 저지, 공공 심야약국 도입’이라 적힌 손팻말을 들거나 머리띠를 두르고 ‘편의점 약 확대하면 약화 사고 증가한다’ 등의 구호를 외쳤다.
안전상비약은 의사 처방 없이 24시간 편의점 등에서 직접 구매할 수 있는 일반의약품을 말한다. 2012년 11월 15일부터 4개 효능군(해열제 감기약 소화제 파스 등) 13개 품목이 팔리고 있다. 약사법에 따르면 보건복지부 장관은 최대 20품목까지 안전상비약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 제도는 야간이나 휴일의 의약품 구입 불편 문제를 해소하자는 취지에서 도입됐다. 약국은 이른 아침이나 심야시간, 주말에 문을 열지 않아 약 구매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편의점 판매 약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적지 않았다.
복지부는 지난 2월 안전상비약지정심의위원회를 출범하고 최근까지 5차례 품목 조정 회의를 열어 설사를 멎게 하는 지사제(스멕타)와 속 쓰릴 때 먹는 제산제(겔포스)를 품목에 추가히로 의견을 모았다. 하지만 지난 4일 5차 회의에서 약사회 간부가 자해하는 소동이 벌어졌고 복지부는 오는 20일 개최하려던 6차 회의를 다음 달로 연기했다.
약사회 관계자는 “속쓰림이나 설사의 원인은 다양하고 복잡해 원인에 맞게 각각 제산제와 지사제를 복용해야 하는데, 편의점에서 판매되면 마구 사먹게 돼 부작용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약사회가 직역 이기주의에 매몰돼 억지주장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경실련은 최근 성명에서 “약사회는 편의점 약품 판매가 숱한 부작용을 일으키며 국민의 안전을 위협한다고 하나 직역 이기주의에 매몰된 억지 주장에 불과하다”며 “국민의 편의와 안전성을 최우선 고려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결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약사회는 이날 발표한 결의문에서 “복지부는 공휴일 및 심야 시간대 진료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공공 심야약국을 전격 도입하라”고 촉구했다. 하지만 복지부는 심야약국 확대에 부정적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국민 입장에서 보면 아플 때 자기 집 근처에 심야약국이 어딘지 검색해야 하는 불편이 따르고 정책 추진자 입장에선 심야약국 선정 지역과 대상 등을 결정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려 그 과정에 생기는 공백을 해결할 수 없다”고 밝혔다.
민태원 이택현 기자 twmin@kmib.co.kr, 사진=서영희 기자
“편의점약 확대 불가”… 약사도 정부 정책에 반기
입력 2017-12-18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