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FO가 어디 있다고…

입력 2017-12-17 22:20

美 2007년부터 극비리 정체 추적
부인하던 ‘비밀 프로젝트’ 첫 인정
年 240억원 투입… 최근까지 연구


미국이 미확인비행물체(UFO·사진)에 대한 극비 연구를 진행해 온 사실이 밝혀졌다. 미 정부는 그간 부인해왔던 UFO와 외계인 연구를 처음으로 시인했다.

뉴욕타임스(NYT)는 16일(현지시간) 미 국방부가 2007년부터 2012년까지 코드명 ‘고등 항공우주 위협 식별프로그램(AATIP)’이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고 보도했다. 연구는 예산 지원만 중단됐을 뿐 최근까지도 계속 진행됐다고 NYT는 전했다.

국방부 산하 국방정보국(DIA)이 주관한 이 프로젝트에는 연간 2200만 달러(약 240억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됐다.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를 역임한 해리 레이드 전 의원이 프로젝트 출범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비 대부분은 억만장자 기업가이자 레이드 전 의원의 친구 로버트 비글로가 운영하는 우주항공 연구회사에 배정됐다.

프로젝트에서는 ‘아우라’(물체를 감싼 빛나는 기운)에 휩싸여 날아가는 비행체를 목격한 사람들의 증언을 청취하고 이를 촬영한 사진, 영상 등을 분석했다. 해군의 F-18 전투기가 목격한 UFO 사례 등도 연구 대상이 됐다. 연구진은 이를 바탕으로 ‘연료 추진 흔적 없이 고속으로 이동하는 비행물체’로 UFO를 묘사한 관련 보고서도 작성했다.

NYT는 “(공개되진 않았지만) 군을 포함해 수십년 동안 미국 내에서도 UFO에 대한 연구가 반복돼 왔다”고 지적했다. 공군에서 1969년까지 UFO 목격담 1만2000개를 연구해 다양한 규명을 진행했으나, 701개 사례가 미해명 상태로 남았던 ‘블루북 프로젝트’ 등이 대표적 사례로 꼽혔다.

미 국방부는 AATIP가 종료된 데 대해 “예산지원 과정에서 우선순위가 더 높은 이슈가 있었기 때문”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