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외신기자협회도
철저 조사 촉구 성명 발표
中 외교부, 폭행사건 관련
질의응답 홈페이지서 삭제
관영매체들도 다루지 않아
취임 후 처음으로 중국을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이 중국 정부의 홀대를 받고 있다는 지적에 이어 급기야 14일 중국 보안요원들의 한국 취재기자 폭행사건까지 벌어졌다. 청와대는 현장에서 채증한 동영상과 사진을 중국 공안에 증거물로 제출했다. 중국 공안은 병원에서 폭행 피해를 입은 한국 기자 2명 진술을 받는 등 본격 수사에 착수했다.
사건은 문 대통령이 오전 베이징 내셔널컨벤션센터(CNCC)에서 열린 한·중 경제무역 파트너십 개막식에서 나와 중앙복도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문 대통령을 수행 취재 중인 사진기자들이 따라 나오려 했으나 중국 측 보안요원들이 출입을 제지했다. 현장엔 근접 취재를 허가받은 사진·영상 기자 10명, 취재기자 2명이 있었다.
보안요원들에게도 한국 기자들의 근접 취재 허가 사실이 전달됐지만 이들은 별다른 이유 없이 기자들의 이동을 막은 것으로 알려졌다. 실랑이가 이어지다 한국일보 사진기자 고모씨가 보안요원들에게 멱살을 잡혀 넘어졌다. 보안요원 10여명은 이 과정에서 매일경제 사진기자 이모씨에게 갑자기 달려들어 주먹질을 했다. 이씨가 넘어지자 구둣발로 얼굴을 강타하기도 했다. 청와대 경호팀은 문 대통령을 근접 수행 중이어서 현장에는 없었다.
한국사진기자협회는 성명을 통해 중국 정부의 즉각 사과와 관련자 처벌을 촉구했다. 중국 외신기자협회(FCCC)도 중국 정부의 철저한 조사를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우리 정부는 “중국 정부에 즉각 유감의 뜻을 전하고 진상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필요한 대응 조치를 취해줄 것을 강력 요청했다”고 밝혔다.
중국 외교부는 오후 정례브리핑 당시 한국 기자 폭행사건에 대한 질의응답이 있었는데도, 홈페이지에 올린 브리핑에선 관련 질문과 답변을 삭제했다. 관영 매체들도 폭행사건을 다루지 않았다.
중국 정부의 문 대통령 홀대 지적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국빈방문 첫날인 13일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베이징을 떠난 탓에 문 대통령은 중국 정부와의 교류 없이 자체 일정만 소화했다. 우리 측은 당초 15일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와의 오찬 회동도 추진했지만 오후 면담만 하는 것으로 결론 났다. 전체 3박4일 일정 중 문 대통령과 중국 정부 인사와의 식사는 국빈만찬과 천민얼(陳敏爾) 충칭시 서기와의 오찬이 전부다. 결국 국빈방문 매뉴얼에만 있는 의전만 제공된 셈이다.
이런 상황에서 시 주석 내외는 14일 밤 양국이 공동 주최한 한·중 문화교류의 밤 행사에 전격 참석했다. 청와대가 시 주석을 초청한 데 따른 것이다. 한국 대통령의 국빈방문에 따른 정상 내외간 문화공연 관람은 처음이라고 청와대는 밝혔다. 청와대 관계자는 “시 주석이 한·중 문화교류의 밤 행사에 참여한 것은 양국 관계 회복에 대한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고 평가했다. 행사는 중국 최고위급 정치일정이나 외국 국가원수에 대한 의전 장소인 중국 인민대회당에서 열렸다. 한인단체와 유관기관 등 정부 초청자 100명을 포함해 양국 관계자 600여명이 참석했다.
베이징=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靑 ‘한국기자 폭행 영상·사진’ 中 공안에 증거물로 제출
입력 2017-12-14 22:00 수정 2017-12-14 2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