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정상 “한반도 전쟁 절대 불가”

입력 2017-12-14 21:41 수정 2017-12-15 00:17

정상회담서 4원칙 합의

한반도 비핵화·북핵 평화해결
남북관계 개선 등 인식 같이해

시진핑 “사드 적절히 처리 희망”
언급했지만 관계 개선도 강조


중국을 국빈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14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하고 한반도에서 전쟁은 절대 용납할 수 없다는 데 합의했다. 두 정상은 또 한반도 비핵화 원칙을 확고히 견지하고, 북한 비핵화를 포함한 모든 문제는 대화와 협상을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하며, 남북 관계 개선은 궁극적으로 한반도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다는 데도 인식을 같이했다.

문 대통령과 시 주석은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이 같은 내용의 한반도 평화와 안정 확보를 위한 4대 원칙에 합의했다.

두 정상은 이와 함께 북한의 도발 중단을 강력히 촉구하는 한편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이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와 안정에 심각한 위협이라는 데 공감했다. 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이행 등 제재와 압박을 통해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유도해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하고 앞으로 긴밀한 협력과 협의를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

시 주석은 사드(THAAD) 문제에 대해선 중국의 안보 이익을 침해한다는 입장을 재강조했다. 이어 “한국 측이 중국의 입장을 계속 중시하고 적절히 처리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정상회담 모두발언에서도 “지금 모두가 아는 이유 때문에 중·한 관계는 후퇴를 경험했다”며 “중·한 관계와 한반도 정세는 관건적인 시기에 처해 있다”고 강조했다.

시 주석은 비공개 정상회담에선 “좌절을 겪으면 회복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지금 양국 관계는 빠른 속도로 개선되고 있다”며 “이런 일이 다시 반복되지 않도록 각별히 신경 쓰고 관리를 잘해나가자”고 말했다고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전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정상회담 말미에 사드 언급은 있었지만 지난 10·31 관계개선 합의를 통해 양국 관계가 개선될 수 있는 모멘텀을 확보했고, 향후 발전적 방향으로 관계 개선이 있을 거라는 데 양 정상이 의견을 같이 했다”고 설명했다.

양 정상은 2시간15분간 확대 정상회담과 소규모 정상회담을 잇달아 진행했다. 이어 문 대통령 부부는 시 주석 초청으로 국빈만찬을 함께했고, 시 주석 부부와 함께 한·중 수교 25주년 문화행사에도 참석했다.

베이징=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