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전월산 한국불교문화체험관 건립을 두고 종교편향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포교용 건물을 짓는데 108억원(국비 54억원, 시비 54억원)을 지원한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지역 교계는 물론 시민단체까지 들고 일어났습니다. 세종시의회는 부랴부랴 예산지원을 부결시켰지만 이번엔 불교계가 반발하자 산업건설위원회로 안건을 다시 상정해 통과시켰습니다. 15일 세종시의회 본회의에서 이걸 다루는데, 통과되면 시비 54억원이 그대로 집행됩니다.
불교문화체험관은 시작부터 특혜 의혹이 있었습니다. 전월산 밑에 있는 ‘S-1 생활권 종교용지’는 명당 중의 명당으로 꼽힙니다. 청와대와 국회 분원이 부근에 들어올 예정입니다. 대한불교조계종은 2006년 이곳 922㎡(279평)를 낙찰 받았습니다. 그런데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역사문화자원을 개발한다며 3차례 개발계획을 바뀌더니 용지를 1만6000㎡(4848평)로 17배 늘렸습니다.
조계종이 이런 명당자리를 어떻게 비공개로 낙찰 받았는지는 의문입니다. 종교용지 우선공급은 둘째 치고 포교용 건물을 짓는데 국민혈세 108억원을 투입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정부와 세종시는 전통불교문화 보호와 계승이 목적이라고 해명합니다.
한번 생각해 보십시오. 자부담금 72억원만 내면 국비·시비 108억원이 투입된 180억원짜리 건물이 수중에 들어오는 데 마다할 사람이 어디 있겠습니까. 조계종은 2005년 같은 방식으로 국가로부터 190억원을 받아 서울 종로구에 본부건물을 세웠습니다.
세종시와 시의회도 의혹투성이입니다. 시비가 54억원이나 투입되는 데 사업승인 및 진행과정을 시민들에게 제대로 알리지 않았습니다. 이렇다 할 공청회나 여론조사도 없었습니다. 시민들의 반대가 거센데도 불교문화체험관 건립을 강행하는 것은 의문입니다.
조계종 총무원장이 밝혔듯 불교문화체험관은 신도시 포교의 거점입니다. 예불 참선 수행체험 등을 하는 곳입니다. 이러니 지역교계와 시민단체가 ‘세종시장과 세종시의회가 불교 표를 의식해 혈세를 조계종에게 상납한다’고 의혹을 제기하는 겁니다.
종교 활동은 철저히 종교단체 자력으로 해야 합니다. 그래야 순수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나랏돈을 쌈짓돈처럼 빼 쓰는 종교가 정부와 지자체를 향해 선지자적 목소리를 낼 수 있겠습니까.
이참에 한국교회도 정부와 지자체에 손을 벌리려는 태도를 버려야 합니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처럼 국가예산을 타내 자체 건물을 지어보려는 욕심을 버려야 합니다.
종교편향은 특정종교의 포교에 예산과 행정지원을 편향적으로 지원할 때 발생합니다. 여론조사를 조작해 역명에 사찰명을 붙인 서울지하철 9호선 ‘봉은사역’이 대표적 예입니다. 이처럼 종교편향은 사회통합에 앞장서야 할 종교가 오히려 사회분열의 당사자가 됩니다. 그래서 다종교사회인 한국사회에 부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종교편향의 본질을 명확히 알고 철저히 예방할 때입니다.
세종=글·사진 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
[미션 톡!] 국민 세금 108억원, 왜 불교 건물 짓는데 퍼주나
입력 2017-12-15 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