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공안 지휘받는 보안요원들
文 대통령 방중 행사 취재
기자단·靑 직원 집단 폭행
중국 공안, 본격 수사 착수
문재인 대통령의 중국 국빈방문을 취재하던 청와대 출입기자와 청와대 직원이 취재 도중 중국 측 보안요원들로부터 집단 폭행을 당했다. 정부는 외교라인을 통해 중국에 엄중 항의하고 책임자 처벌을 위한 수사를 요청했다.
중국 공안은 폭행당한 한국 기자를 상대로 경위를 파악하는 등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다. 문 대통령은 14일 오전 10시30분쯤 베이징 내셔널컨벤션센터(CNCC) B홀에서 코트라가 개최한 한·중 경제무역 파트너십 개막식에 참석했다. 정식 비표를 받은 취재진이 한·중 스타트업 혁신기업 부스 쪽으로 이동하는 문 대통령을 따라가자 중국 보안요원들이 막아선 뒤 실랑이가 벌어졌다. 이들은 한국일보 사진기자 고모씨의 멱살을 잡은 뒤 넘어뜨렸다. 또 매일경제 사진기자 이모씨도 멱살을 잡아 복도로 끌고나간 뒤 10여명이 집단폭행했다. 한 보안요원이 쓰러진 이씨 얼굴을 걷어차는 장면이 취재진 카메라에 포착됐다. 보안요원들은 자신들을 말리는 청와대 직원까지 붙잡아 넘어뜨리며 폭행했다.
이씨는 안구출혈과 코피 등으로 대통령 주치의로부터 긴급 진료를 받았다. 이어 주치의 소견에 따라 베이징의 한 대형 병원으로 이송된 뒤 안와골절 진단을 받았다.
행사 현장은 중국 공안이 현장 경호를 총지휘했다. 폭행에 가담한 일부 보안요원은 코트라가 계약한 보안업체 직원일 가능성도 있다. 코트라 관계자는 “일정 규모 이상의 행사가 이뤄지면 중국 공안에 통보하고, 중국 공안이 경호원을 선별해 배치한다”며 “용역업체 인력이 배치된 건 맞지만 관리는 공안이 하고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중국 공안에 지휘 책임을 물을 것을 요구했고, 폭행 당사자에 대한 책임도 별도로 묻겠다”며 “문 대통령도 상황을 보고받고 상당히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기자협회는 성명을 통해 “한국 대통령을 동행 취재하던 기자들을 폭행한 것은 용납할 수 없는 행위”라며 중국 정부에 공식 항의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루캉(陸慷)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비록 행사를 한국이 주최했어도 중국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큰 관심을 표한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중국 공안의 강압적 태도를 감안해 내부적으로 언론에 대한 경호 강화를 결정했지만 실제로 대통령 경호처는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경호처 관계자는 “최초 문제의 발단이 되는 상황을 목격하는 게 늦었다. 이런 일이 발생한 데 대해 마음 아프고 죄송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국빈 자격으로 중국을 방문한 첫날 시진핑(習近平) 주석이 난징대학살 80주년 추도식 참석을 이유로 베이징을 떠나는 등 홀대 논란이 제기됐다.
베이징=강준구 기자, 김현길 기자
‘홀대’ 논란 이어 韓기자 폭행… 中 왜 이러나
입력 2017-12-14 18:12 수정 2017-12-14 2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