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 뉴딜 첫 시범사업지는 68곳… 경기도 8곳 최다

입력 2017-12-15 05:05

정부 특별위원회 열고 의결
연 평균 재정 2조 투입하고
기금 4조9000억 사용키로
공기업이 연 최대 3조 투자도
경남 통영 폐조선소 부지 활용
지진 흥해읍, 특별재생지역으로


문재인정부가 핵심 국정과제로 꼽고 있는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첫 시범사업지 68곳이 선정됐다. 조선업 불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남 통영은 유일한 경제기반도시재생 모델로 꼽혔고, 포항 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흥해읍은 특별재생지역으로 지정됐다.

정부는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9차 도시재생특별위원회를 열고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 68곳을 의결했다. 정부는 시범사업에 연평균 재정 2조원과 기금 4조90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연간 최대 3조원 수준의 공기업 투자도 병행한다.

국토교통부는 이번에 최종 선정된 68곳의 시범사업지가 16개 광역지자체에 걸쳐 분포하고 있어 지역 간 형평성을 확보했다고 평가했다. 시·도별로는 경기도가 8곳으로 가장 많았고 전북·경북·경남에서 각각 6곳씩 지정됐다.

사업유형별로 보면 폐조선소 부지를 활용해 문화·관광·해양산업 거점으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은 경남 통영만 경제기반형으로 분류됐다. 나머지 중심시가지형(19곳)이나 우리동네살리기(17곳), 주거지지원형(16곳), 일반근린형(15곳)은 비슷한 수준에서 선정됐다.

국토부는 지역별 특색을 살린 사업들이 우선 뽑혔다고 선정기준을 설명했다. 전남 목포시는 300여개에 이르는 근대 건축물을 활용한 근대역사체험길을 조성해 수익형 창업을 유도하기로 했다. 경남 하동군은 섬진강 인근 폐철도공원과 송림공원을 연계한 광평역사문화 간이역을 조성해 관광객을 유치하고 마을 수익사업을 운영키로 했다.

부산 사하, 인천 부평, 세종 조치원 등 5곳은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시티형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기존 도시재생사업에 포함되지 않았던 농어촌 지역도 4곳이나 선정됐다. 세종 조치원읍, 전북 완주군, 경북 영양군, 경남 하동군 등은 향후 농림축산식품부와 함께 사업 지원계획을 구체화할 예정이다. 다만 세종시에서 선정했던 일반근린형 사업은 부동산 가격 상승 수준이 평균치를 4배 이상 웃돌아 투기 우려가 크다는 점에서 이번 명단에서 빠졌다.

정부는 내년 2월 이들 지역을 선도지역으로 지정하고 활성화 계획을 수립해 사업을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일반 재생사업지로 선정된 67곳과는 별개로 최근 지진으로 피해가 발생한 포항시 흥해읍을 특별재생지역으로 지정해 내년부터 재생사업을 추진한다. 포항시와 협의해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를 설치하고 내년 4월까지 도시재생특별법 개정을 추진해 특별재생지역 제도의 법적 근거도 마련할 예정이다.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 그래픽=공희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