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내대표·정책위의장 경선 1차 투표서 과반 획득
복당파·친홍계 지지 받아
“文정부 독단 막는 전사될 것
제대로 된 영수회담 해야”
정책위의장에 재선 함진규
12월 임시국회가 첫 시험대
洪 대표 장악력 더 높아져
최경환 체포동의안 제출
한국당 ‘표결 불참’ 거론
자유한국당의 새 원내대표로 김성태(3선·서울 강서을) 의원이 선출됐다. 김 의원은 바른정당 복당파와 친홍(친홍준표)계의 지지를 받았다. ‘선명한 투쟁야당’을 천명한 김 의원의 당선으로 한국당의 대여 투쟁 강도는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김 신임 원내대표는 12일 국회에서 열린 한국당 원내대표·정책위의장 경선에서 총 108표 중 55표로 과반을 획득해 1차 투표에서 승리를 확정지었다. 친박(친박근혜) 홍문종 의원과 중립지대를 표방한 한선교 의원은 각각 35표와 17표를 얻는 데 그쳤다. 김 원내대표의 러닝메이트인 정책위의장으로는 재선의 함진규(경기 시흥갑) 의원이 뽑혔다. 김 원내대표가 간신히 절반을 넘기자 무효표 여부 확인을 위한 재검표가 진행되는 신경전이 펼쳐지기도 했다.
김 원내대표는 당선 직후 연설에서 “대여 투쟁력을 강화해 문재인정부의 독단과 전횡, 포퓰리즘을 막아내는 전사가 되겠다”고 강조했다. 김 원내대표는 “한국당의 당면과제는 첫째도, 둘째도 문재인정권과 맞서 싸우는 것”이라며 “싸움박질도 해본 놈이 잘하는 법”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취임 직후 한 언론 인터뷰에서 “문재인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은 제1야당 한국당과 제대로 된 영수회담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홍준표 대표는 경선 후 의총장에 나타나 “합심해서 좌파 광풍시대를 막아야 한다. 새로 선출된 원내 지도부와 함께 난국을 헤쳐나가는 데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김 원내대표에게 힘을 실어줬다. 또 “오늘부터 친박계는 없다”고 공언했다.
김 원내대표 체제 등장으로 한국당은 강력한 대여투쟁 노선을 취할 것으로 예상된다. 12월 임시국회는 김 원내대표의 첫 시험대다. 민주당과 국민의당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신설 등 각종 법안 통과에 연대할 경우 한국당은 속수무책으로 당할 가능성이 높다. 민주당과 한국당 사이 줄타기를 하는 국민의당과의 관계 정립도 어려운 숙제다. 현 정부의 적폐청산 수사에 대한 대책 마련도 중요 과제다.
홍 대표가 지지한 김 원내대표가 경선에서 승리하면서 홍 대표의 당 장악력은 더욱 높아졌다. 친홍 체제가 구축됐다는 평가도 있다. 김 원내대표의 친홍 이미지는 양날의 칼이다. 홍 대표와 호흡을 잘 맞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일부 의원들의 반홍(반홍준표) 정서는 김 원내대표의 발목을 잡을 수도 있다.
김 원내대표는 사우디아라비아 건설 현장 노동자 출신이다. 또 한국노총 사무총장을 지낸 노동 전문가다. 2014년 ‘정년 60세 연장법’을 발의해 통과시킨 주역이기도 하다. 바른정당 창당에 참여했으나 대선 직전 한국당에 복당했다.
김 원내대표 당선에 대해 민주당과 국민의당은 “정쟁 아닌 상생과 협치를 바란다”고 했지만 바른정당은 “또 하나의 ‘친홍 패권'이 탄생하는 것 아닌지 우려된다”며 비판적인 논평을 냈다.
이런 상황에서 법무부는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수수 의혹을 받고 있는 친박 핵심 최경환 의원 체포동의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국회법에 따라 체포동의안은 제출 이후 첫 본회의에 보고돼야 한다. 여야는 임시국회 회기 종료 전인 22일 본회의 개최에 잠정 합의한 상태다. 22일 본회의에 최 의원 체포동의안이 보고될 경우 국회법에 따라 23∼25일 표결을 해야 한다. 한국당에서는 표결 불참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하윤해 이종선 기자 justice@kmib.co.kr
결국 ‘親洪’… 한국당 새 원내대표 ‘복당파’ 김성태
입력 2017-12-12 21:39 수정 2017-12-13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