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親洪’… 한국당 새 원내대표 ‘복당파’ 김성태

입력 2017-12-12 21:39 수정 2017-12-13 05:00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운데)가 1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한국당 원내대표·정책위의장 선거에서 선출된 김성태 신임 원내대표(오른쪽), 함진규 신임 정책위의장과 함께 손을 들고 있다. 뉴시스

원내대표·정책위의장 경선 1차 투표서 과반 획득

복당파·친홍계 지지 받아
“文정부 독단 막는 전사될 것
제대로 된 영수회담 해야”
정책위의장에 재선 함진규

12월 임시국회가 첫 시험대
洪 대표 장악력 더 높아져
최경환 체포동의안 제출
한국당 ‘표결 불참’ 거론

자유한국당의 새 원내대표로 김성태(3선·서울 강서을) 의원이 선출됐다. 김 의원은 바른정당 복당파와 친홍(친홍준표)계의 지지를 받았다. ‘선명한 투쟁야당’을 천명한 김 의원의 당선으로 한국당의 대여 투쟁 강도는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김 신임 원내대표는 12일 국회에서 열린 한국당 원내대표·정책위의장 경선에서 총 108표 중 55표로 과반을 획득해 1차 투표에서 승리를 확정지었다. 친박(친박근혜) 홍문종 의원과 중립지대를 표방한 한선교 의원은 각각 35표와 17표를 얻는 데 그쳤다. 김 원내대표의 러닝메이트인 정책위의장으로는 재선의 함진규(경기 시흥갑) 의원이 뽑혔다. 김 원내대표가 간신히 절반을 넘기자 무효표 여부 확인을 위한 재검표가 진행되는 신경전이 펼쳐지기도 했다.

김 원내대표는 당선 직후 연설에서 “대여 투쟁력을 강화해 문재인정부의 독단과 전횡, 포퓰리즘을 막아내는 전사가 되겠다”고 강조했다. 김 원내대표는 “한국당의 당면과제는 첫째도, 둘째도 문재인정권과 맞서 싸우는 것”이라며 “싸움박질도 해본 놈이 잘하는 법”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취임 직후 한 언론 인터뷰에서 “문재인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은 제1야당 한국당과 제대로 된 영수회담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홍준표 대표는 경선 후 의총장에 나타나 “합심해서 좌파 광풍시대를 막아야 한다. 새로 선출된 원내 지도부와 함께 난국을 헤쳐나가는 데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김 원내대표에게 힘을 실어줬다. 또 “오늘부터 친박계는 없다”고 공언했다.

김 원내대표 체제 등장으로 한국당은 강력한 대여투쟁 노선을 취할 것으로 예상된다. 12월 임시국회는 김 원내대표의 첫 시험대다. 민주당과 국민의당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신설 등 각종 법안 통과에 연대할 경우 한국당은 속수무책으로 당할 가능성이 높다. 민주당과 한국당 사이 줄타기를 하는 국민의당과의 관계 정립도 어려운 숙제다. 현 정부의 적폐청산 수사에 대한 대책 마련도 중요 과제다.

홍 대표가 지지한 김 원내대표가 경선에서 승리하면서 홍 대표의 당 장악력은 더욱 높아졌다. 친홍 체제가 구축됐다는 평가도 있다. 김 원내대표의 친홍 이미지는 양날의 칼이다. 홍 대표와 호흡을 잘 맞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일부 의원들의 반홍(반홍준표) 정서는 김 원내대표의 발목을 잡을 수도 있다.

김 원내대표는 사우디아라비아 건설 현장 노동자 출신이다. 또 한국노총 사무총장을 지낸 노동 전문가다. 2014년 ‘정년 60세 연장법’을 발의해 통과시킨 주역이기도 하다. 바른정당 창당에 참여했으나 대선 직전 한국당에 복당했다.

김 원내대표 당선에 대해 민주당과 국민의당은 “정쟁 아닌 상생과 협치를 바란다”고 했지만 바른정당은 “또 하나의 ‘친홍 패권'이 탄생하는 것 아닌지 우려된다”며 비판적인 논평을 냈다.

이런 상황에서 법무부는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수수 의혹을 받고 있는 친박 핵심 최경환 의원 체포동의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국회법에 따라 체포동의안은 제출 이후 첫 본회의에 보고돼야 한다. 여야는 임시국회 회기 종료 전인 22일 본회의 개최에 잠정 합의한 상태다. 22일 본회의에 최 의원 체포동의안이 보고될 경우 국회법에 따라 23∼25일 표결을 해야 한다. 한국당에서는 표결 불참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하윤해 이종선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