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사람들’ 전성시대… 靑·政·與 251명 분석

입력 2017-12-13 05:05 수정 2017-12-14 10:43
20%인 52명이 盧 청와대 출신
고위직 포함 땐 74명 ‘문’전성시
사실상 文정부의 인재풀 역할
부처 장·차관도 15명 차지
與의원 20명 포진해 입법 지원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 임명된 청와대 비서진과 정부부처 고위 공무원, 20대 국회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5명 가운데 1명이 노무현정부 청와대 출신 인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일보가 청와대 비서관급 이상 직원과 정부부처 고위 공무원(18개 부처 장·차관, 5개 처장, 17개 청장), 민주당 소속 20대 의원 등 국가 고위직 251명의 이력을 전수조사한 결과 조사 대상자 가운데 52명이 ‘노무현 청와대’에서 근무(파견 포함)했던 것으로 파악됐다. 비율로는 전체의 20.7%다. 2003년 2월부터 2008년 2월 사이 국무총리나 경제부총리, 각종 대통령 자문기구, 북핵6자회담 수석대표 등 노무현정부에서 고위 공무원을 역임한 인사를 포함하면 조사 대상자 가운데 74명이 노무현정부 출신이다. 전체의 29.5%로 3명 중 1명꼴이다. 노무현 청와대는 문재인정부의 원천 인재풀 기능을 하는 셈이다.

청와대는 비서관급 이상 고위 공무원 63명 가운데 17명이 노무현 청와대 출신이다. 조현옥 인사수석, 김수현 사회수석, 반장식 일자리수석, 남관표 국가안보실 2차장 등 수석급 비서관 4명이 과거 노무현정부 청와대에서 비슷한 일을 했다. 또 문재인 대통령의 19대 국회의원 및 대선 기간 지근거리에서 보좌했던 윤건영 국정상황실장과 청와대 살림을 맡은 이정도 총무비서관, 대통령과 가족의 사생활을 책임지는 송인배 제1부속비서관 및 유송화 제2부속비서관 등도 노무현 청와대 ‘동문’이다.

18개 부처의 장·차관 45명 가운데에도 노무현 청와대 출신 비율이 높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과 조명균 통일부 장관, 김은경 환경부 장관이 모두 노무현 청와대에서 근무했다. 통일부(천해성) 국방부(서주석) 보건복지부(권덕철) 차관 등 문 대통령의 핵심 공약을 이행할 주무 부처 장·차관 가운데 10명(22.2%)이 노무현 청와대에서 일했다.

또 인사혁신처장(김판석)과 청와대 경호처장(주영훈), 관세청장(김영문) 특허청장(성윤모)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이원재)도 마찬가지다. 문 대통령의 대선 후보 시절 외교안보 정책 자문그룹의 핵심 인사였던 서훈 국가정보원장도 노무현 청와대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서 근무했다.

문재인정부 핵심 정책을 입법으로 뒷받침해야 하는 여당 의원 121명 가운데 노무현 청와대 근무 경력이 있는 의원은 20명(16.5%)이었다. ‘문재인의 3철’(전해철 이호철 양정철) 중 한 명인 전해철 전 최고위원과 친문(친문재인) 핵심 인사인 박남춘 최고위원은 각각 노무현 청와대에서 민정수석과 인사수석을 역임했다. 특히 지난해 총선에서 ‘민주당 바람’을 타고 입성한 초선 의원 가운데 11명이 당시 청와대에서 비서관과 행정관 등으로 일한 경력이 있다.

김조원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신임 사장과 강원랜드 사장으로 유력 거론되는 문태곤 전 감사원 기획관리실장 등 현재 진행 중인 공공기관장 인사에도 노무현 청와대 출신 인사들의 이름이 계속 등장하고 있다.

글=최승욱 신재희 기자 applesu@kmib.co.kr, 그래픽=안지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