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계 안팎 비판 목소리
교육부가 10일 미성년 자녀를 논문 공저자로 등록한 교수 실태조사에 착수하자 교육계에선 늦었지만 적절한 조치라는 반응이 많았다. “연구윤리 부정과 입시 공정성 불감증이 극에 달했다”는 자조의 목소리도 터져 나왔다.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윤태웅 교수는 페이스북에 “연구실에 자녀를 데려다 두고 심지어 논문에 이름까지 올리는 일이 그렇게 흔한 줄은 미처 몰랐다”며 “대학 실험실은 등록금 내는 학생들의 연구를 지도하는 공적 공간이지 자식을 교육하는 사적 공간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이번 사태는 이해충돌에 대한 개념이 미비하기 때문에 발생했다는 게 교수들의 분석이다. 윤 교수는 “설사 자녀가 정말로 뛰어나서 논문의 저자가 될 자격을 갖췄다고 가정해도 문제가 있다”며 “보통 사람의 기준(Average person standards)에서 외부인이 보기에 이상한 일은 가능하면 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엄창섭 대학연구윤리협의회 회장(고려대 의대 교수)도 “미성년자라면 부모가 도와줄 수 있지 않겠느냐는 의심이 들 수밖에 없다”며 “논문 기여도를 떠나 그런 의심을 사는 자체가 윤리적으로 문제”라고 말했다.
입시 전문가들 사이에선 “수시전형이 확대돼 신종 스펙 관리 기법이 막 퍼지고 있는 시점에서 부정 행태를 적발한 케이스”라는 목소리도 나왔다. 수시전형의 면접 과정이나 학생기록부의 교사 코멘트 등으로 논문 실적에 대한 간접적 언급을 통해 입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입시 공정성에 대한 근본적 불감증이 드러난 사례”라고 비판했다. 실제로 문제가 된 교수들은 “공식적 절차로 논문에 참여했다” “연구와 관련된 일을 많이 했다”며 이번 사태가 큰 문제는 아니라는 취지로 해명했었다. 임 대표는 “공정하게 (학생의) 노력에 의해 입시가 진행돼야 하는데 학부모 등의 노력으로 대학에 간다면 기여 입학을 사실상 간접 허용해주는 것”이라며 “근본적인 해결 없이 몇 가지 개선안 정도로 접근했다가는 문제가 계속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임주언 기자 eon@kmib.co.kr, 그래픽=이석희 기자
[논문 끼워넣기] “교수 연구윤리, 입시 공정성 불감증 극에 달해”
입력 2017-12-11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