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사드 보복 반면교사 삼아 한국 소비재 기업, 혁신 나서야”

입력 2017-12-10 19:46
한국 소비재 기업은 중국의 사드(THAAD) 보복을 계기로 상시적 리스크 관리 등 시스템을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10일 ‘사드 갈등이 남긴 교훈, 대중국 수출 전략 어떻게 변해야 하나’ 보고서에서 2012년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영유권 분쟁 당시 일본의 사례를 토대로 한 마케팅 전략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2010년 중국 내 수입시장에서 16.8%에 달했던 일본의 점유율이 2013년 8.7%까지 하락했으나 시세이도 유니클로 등 일본 주요 기업은 오히려 입지를 튼튼히 했다고 소개했다. 이들 기업은 중국 맞춤형 제품을 출시하면서 서비스를 강화하고, 반일감정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80, 90년대생의 소비 트렌드에 부응하는 서비스와 제품을 출시했다. 또 일본의 위생과 안전을 강조하는 ‘메이드 인 재팬’ 제품을 마케팅에 적극 활용했다.

이러한 일본 사례를 토대로 연구원은 기업 차원의 상시적 리스크 관리 시스템을 먼저 구축하고, 포스트 한류 마케팅 전략을 짜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중국 내 디지털 경제 확산과 로컬 브랜드 성장에 대응하는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현재 포화상태인 중국 1선 도시(베이징·상하이·광저우) 대신 소비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3·4선 도시(지방 주요 도시) 등을 공략하는 ‘차이나 플러스 차이나’ 전략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빛나 연구위원은 “한국이 경쟁력을 갖고 있던 소비재 분야에서 중국 브랜드 경쟁력이 높아지고 있어 수출을 낙관할 수 없다”며 “외교적 갈등이 봉합됐으나 언제든지 악화될 가능성이 잔존하는 만큼 대중국 수출 및 마케팅 전략에 수정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