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전 세계 자동차 시장 판매량이 1%대 성장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주요국의 수요 감소와 원화 강세 등으로 한국 완성차 업체들은 더 큰 어려움이 예상된다.
현대자동차 글로벌경영연구소 이보성 이사는 지난 8일 ‘2018년 글로벌자동차 시장 전망’ 세미나에서 내년 세계 자동차 판매량이 9372만대로, 올해(9260만대)보다 1.2% 증가하는 데 그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지역별로 보면 자동차 양대 시장인 중국과 미국에서 올해보다 판매량이 줄어들 전망이다. 세계 1위 시장인 중국의 자동차 판매는 올해 2456만대에서 내년 2423만대로 1.3%, 미국은 올해 1728만대에서 내년 1698만대로 1.7% 감소할 전망이다. 중국은 구매세 인하 종료, 미국은 금리 상승에 따른 구매 부담 증가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됐다.
유럽은 올해 1781만대에서 내년 1807만대로 1.5% 증가세를 보일 전망이다. 하지만 디젤 규제 강화와 전기차 확대정책 등으로 시장 상황을 낙관하기만은 어려운 상황이다.
신흥국에서는 판매량이 늘 것으로 전망됐다. 인도는 8.7%(348만대), 러시아는 16.7%(186만대), 브라질은 7.8%(233만대) 판매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내수는 금리 인상과 저조한 고용개선, 신차 효과 축소 영향으로 올해 대비 1.1% 감소한 180만대 판매가 예상된다. 2015년 이후 3년 연속 감소세다.
차급별로는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의 인기가 계속될 전망이다. 전 세계 자동차 판매 중 SUV가 차지하는 비중은 올해 31.4%에서 내년에 32.9%로 상승하고 2021∼2022년에는 40%대까지 올라갈 것으로 예측됐다.
한국 완성차 업계는 수요 감소뿐 아니라 원화 강세, 엔화 약세의 ‘삼중고’가 예상된다. 수출 비중이 높은 자동차 산업에서 원화 가치가 상승하면 한국차의 가격경쟁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이 10원 내릴 때마다 연간 수출액이 4200억원가량 줄어든다. 이 이사는 “한국 자동차 산업생산은 450만대다. 내수 규모를 감안할 때 최소 300만대 이상 수출해야 하는데 수출경쟁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환율”이라며 “엔저 현상은 일본 업체의 가격경쟁력을 높이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일례로 엔저 현상이 시작되기 전인 2011년 현대 쏘나타와 혼다 어코드의 가격차는 10%였지만 올해에는 2% 정도로 격차가 줄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 그래픽=이석희 기자
내년 세계 자동차 시장 판매 성장 1%대 그칠 듯
입력 2017-12-10 19: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