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동구, 시의원 1명 축소 ‘수모’
광주지역 최대 번화가이자 ‘호남정치 1번지’인 광주 동구가 수난시대를 맞고 있다. 충장·금남로로 상징되는 동구는 지난 2005년 전남도청이 무안 남악신도심으로 이전한 후 도심공동화와 인구감소 현상이 뚜렷해졌다.
최근에는 국회 정개특위가 지방의원 선거구 획정과 의원 정수 조정안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광주 동구 지역구 시의원을 현행 2명에서 1명으로 줄이기로 해 논란이 되고 있다. 시의원이 1명으로 축소될 경우 동구는 선출직 국회의원과 구청장, 시의원이 모두 1명씩인 기형적 구조가 된다. 광주 북구와 광산구가 국회의원은 2명씩이고 구청장은 1명, 시의원은 각각 6명, 4명인 것과 비교된다. 동구 시의원들은 “평균 5만∼6만명인 다른 지역에 비해 동구 인구는 9만5788명인데 1명의 시의원만 선출하게 된다면 표의 등가성은 물론 대의민주주의 근본가치인 비례성을 해치게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동구는 지난 20대 총선에서도 선거구 유지 하한선인 13만8000명에 인구가 한참 모자라 인접한 남구의 양림동, 방림동, 백운동, 사직동 등을 끌어들여 기존 동구와 남구에서 ‘동남갑’과 ‘동남을’로 국회의원선거구가 개편되는 우여곡절을 겪었다. ‘행정구역 따로 국회의원선거구 따로’가 된 셈이다. 과거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질 때마다 동구 표심의 향배가 ‘호남 민심의 척도’로 여겨지던 것과 비하면 상전벽해나 다름없다.
동구 인구는 2015년 9월 9만9879명으로 10만명이 처음 무너진데 이어 현재 9만6000명 밑으로 더 떨어졌다. 이로 인해 지난 6월 부구청장 직급이 기존 3급 지방부이사관에서 4급 지방서기관으로 강등되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부산 4개구, 2035년 인구 22% 줄어
중구, 동구, 서구, 영도구 등 부산 원도심 4개 구의 인구가 2035년까지 22%나 줄면서 노령화가 급속히 진행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부산시가 10일 발표한 구·군 장래인구 추계에 따르면 2035년 원도심 4개 구의 인구는 29만6000명으로 2015년의 37만9000명과 비교해 22%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부산시 인구는 2015년 345만2000명에서 2035년 320만6000명으로 24만6000명(7.1%)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강서구와 기장군을 제외한 14개 구 모두 인구가 감소하는데, 원도심 4개 구의 감소 폭이 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14세 이하 유소년 인구 대비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을 나타내는 노령화지수도 2035년 동구 675, 중구 672, 영도구 623, 서구 548로 부산에서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2015년 원도심 4개 구의 노령화지수는 동구 254, 중구 248, 영도구 218, 서구 222로 2035년 대비 3분의 1 수준이다.
생산가능(15∼60세) 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하는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인 노인부양비율은 2035년 영도구 80명, 동구 77명, 서구 72명, 중구 71명으로 나타나 원도심 자치구의 고령인구 부담이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2035년 부산의 전체 노인 부양비율은 59명 선이다.
시 관계자는 "원도심 4개 구는 위기극복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며 "도시첨단문화허브 조성, 명품학군 조성 지원 등 원도심 발전 10대 프로젝트 사업을 통한 인구 및 산업 유인책이 해답이며 미래와 후세대를 위해 원도심 통합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안 낳고… 떠나고… 지방도시 공동화 딜레마
입력 2017-12-11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