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1994년 1차 북핵 위기 당시 북한과의 전쟁을 실제로 계획했다가 막대한 인명 피해 때문에 논의를 접었다는 사실이 해제된 미 정부 기밀문서에서 확인됐다.
조지워싱턴대 부설 국가안보문서보관소는 8일(현지시간) 공개한 기밀문서에서 드러난 주요 인사들의 발언, 정부기관의 보고를 종합해 이 같은 결론을 내렸다. 미국은 공식적으로 대북 선제공격을 언급한 적이 없지만 고 김영삼 전 대통령이 퇴임 후 회고록에서 이런 사실을 밝힌 바 있다.
빌 클린턴 행정부에서 국방부 장관과 대북 특사를 지낸 윌리엄 페리 전 장관은 98년 12월 김대중 당시 대통령과의 회동에서 미국이 94년 전쟁을 계획했다고 털어놓았다. 이 사실은 주한 미국대사관이 청와대로부터 얻은 대화록을 토대로 미 국무부에 보고한 문건에 적시됐다. 페리는 당시 “의심할 여지없이 전쟁에서 이길 수 있지만, 그 과정에서 많은 사상자를 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당시 미 국방부의 모의실험 결과 한반도에서 전쟁이 발발하면 90일 이내에 주한미군 5만2000명, 한국군 49만명의 사상자가 발생할 것으로 추산됐다. 아무리 외과수술식 정밀공격을 가해도 전면전으로 발전해 매우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분석이었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
美, 1994년 북핵 때 전쟁 계획… 참사 우려 접어
입력 2017-12-10 1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