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北참가 위한 물밑작업 본격화
中·러 통해 참가 의향 지속 타진
IOC 위원장 방북 성사 공조 나서
트럼프, 방한 때 文 대통령에게
“평창올림픽에 가족 보낼 것” 밝혀
북한을 내년 2월 평창 동계올림픽에 참가시키려는 정부의 물밑 작업이 본격화되고 있다. 정부는 중국 러시아 등을 통해 북측에 참가 의향을 지속적으로 타진하는 한편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의 북한 방문 성사를 위해 IOC 측과 공조에 나섰다. 현재로선 북한의 참가 여부를 예단하기 어렵다. 다만 정부 내에선 북한이 불참 의사를 명시적으로 밝히지 않은 것에 기대를 거는 시각도 없지 않다.
정부 당국자는 8일 “IOC가 바흐 위원장의 방북을 오랫동안 준비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우리 정부도 평창 동계올림픽의 평화적 개최를 위해선 북한 참가가 필요하다고 보고 IOC와 협조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북측은 아직 답을 하지 않고 있지만, 답이 없다는 게 나쁜 것만은 아닌 것 같다”며 “북한으로선 최대한 얻어낼 만큼 얻어내고 답을 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IOC는 바흐 위원장의 연내 방북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른 정부 관계자도 “북한에서 최종 결심을 할 사람은 딱 한 명”이라며 “결과를 예단하기보다 북측의 답을 기다리면서 우리가 할 일을 하는 게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정부는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를 남북 관계 개선과 한반도 평화 조성의 지렛대로 삼겠다는 구상을 갖고 이를 추진해 왔다. 청와대도 국가안보실을 중심으로 전방위적인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이후 바흐 위원장을 두 차례 만나 협조를 요청했다.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 여부를 가늠해볼 수 있는 계기는 일단 바흐 위원장의 방북 성사 여부다. 북한이 제프리 펠트먼 유엔 사무차장에 이어 바흐 위원장의 방문까지 받아들일 경우 평창올림픽 참가에 한발 다가선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IOC는 북한이 참가 의사만 있다면 와일드카드 등 각종 편의를 제공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왔다.
물론 북한이 한반도 정세 등을 고려해 최대한 시간을 끌다가 개막 직전에서야 결정할 가능성도 있다. 일각에선 북한이 올림픽에는 불참하되 ‘올림픽 기간 적대행위 중단’을 촉구하는 유엔총회 결의 이행 의사를 밝힐 수 있다는 관측도 내놓는다. 다만 정부 관계자는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 결의도 무시하는 북한이 적대행위 중단 촉구 결의안을 이행하겠다고 밝히는 건 예상하기 어렵다”며 “오거나 안 오거나 둘 중 하나일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백악관은 7일(현지시간) “미국은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를 고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날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국대사가 “미국 선수단의 동계올림픽 참가 여부는 미정(open question)”이라고 말한 데 대한 미 정부의 공식 참가 입장 표명이다. 미국올림픽위원회(USOC)도 “평창 동계올림픽 선수단 파견 계획에 아무런 변화가 없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고위급 대표단의 평창 파견 결정을 조기에 발표해 달라”고 요청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이 직접 고위급 대표단 파견 사실을 IOC에 전해도 좋다”고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초 방한 때 문 대통령과의 회동에서 평창올림픽에 가족을 보내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권지혜 강준구 기자,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jhk@kmib.co.kr
‘평화의 평창’ 긴박한 움직임
입력 2017-12-08 18:55 수정 2017-12-08 2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