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창출 협조 필수” 판단
정부, 소통 강화 행보 나서
박회장 “援軍 얻었다” 화답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8일 “다음 주부터 대기업을 포함해 기업들과 만남을 가질 것”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대기업과 다소 거리를 뒀던 현 정부 스탠스에 변화가 생기는 것이 아니냐는 예상이 나온다.
김 부총리는 이날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회관 접견실에서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과 만난 자리에서 “다음 주부터 기업인과 대화를 시작하려 한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앞으로는 중소기업뿐만 아니라 대기업도 만나려고 생각한다”며 “대기업도 정부가 역점 추진하는 혁신과 성장의 중요한 축”이라고 했다. 이에 박 회장은 “기업의 혁신과 성장에 대해 사회적으로 관심이 높아지는 것 같아서 굉장히 고무적이고 반갑다”면서 “부총리가 ‘혁신과 성장의 전도사’ 역할을 하겠다고 하니 원군을 얻은 것 같다”고 화답했다.
김 부총리의 이날 발언은 그간 대기업에 대한 문재인정부의 태도와는 사뭇 다른 뉘앙스를 담고 있다. 현 정부는 주로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을 중심으로 재벌 및 대기업 개혁을 이야기해왔다. 특히 국정농단의 한 축으로 거론된 전국경제인연합회와 관련해서는 ‘패싱론’이 나올 정도로 관계가 소원했다.
김 부총리가 대기업과 소통에 나서겠다고 한 것은 혁신성장과 일자리 창출이라는 정책 과제를 실현하려면 기업의 협조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김 부총리는 이날 면담 직후 기자들과 만나 “우리 기업들이 혁신성장의 중요한 축”이라고 거듭 강조하면서 “혁신성장은 민간과 기업, 시장 위주로 진행하고 정부는 뒷받침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 측면에서 면담을 통해 혁신성장 방침에 재계가 참여해달라고 요청했고, 특히 일자리 창출에 대해서도 부탁 말씀을 드렸다”고 소개했다.
박 회장은 앞서 면담에서 “기업이 새로운 일거리를 만들도록 하면 결국 일자리가 채워지는 것”이라며 “기업이 일을 벌이기 어렵게 하는 규제가 있다면 없애 달라”고 주문했다.
김 부총리가 다음 주부터 어떤 기업과 어떤 방식으로 만날지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그는 “기업별로 만날 수도 있고 신재생 산업, 전통 제조업 등 산업별로 만날 수도 있다”며 “기업 규모나 업종을 차별하지 않고 대한상의와 협의해 만나겠다”고 했다.
이날 면담은 지난달 16일 박 회장의 정부서울청사 방문에 대한 답방 차원에서 성사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박 회장은 김 부총리에게 ‘최근 경제 현안에 대한 전문가 제언’을 전달한 바 있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 사진=최종학 선임기자
거리 두더니… 김동연 “내주부터 대기업과 혁신성장 대화”
입력 2017-12-08 18:27 수정 2017-12-08 2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