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출퇴근용 무인 비행기, 2030년까지 세상에 나온다

입력 2017-12-08 05:00

정부, 무인이동체 기술 혁신·성장 10개년 로드맵 발표

배송용 자율차·무인 선박 등 개발
10년 동안 모두 5500억원 지원
기술 경쟁력 세계 3위로 높이고
글로벌 점유율 10%로 늘리기로

개인이 출퇴근용으로 타는 드론(무인비행기)과 사람의 도움 없이 택배를 스스로 배송하는 자율운반차량, 고층건물 공사현장에서 로봇팔로 건물을 쌓는 건설드론이 2030년까지 개발된다. 정부는 향후 10년간 총 5500억원을 들여 기술 개발을 지원할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7일 이 같은 내용의 ‘무인이동체 기술혁신과 성장 10개년 로드맵’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정부는 2030년까지 우리나라의 무인이동체 분야 기술경쟁력을 세계 3위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시장점유율을 10%로 높이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과기정통부는 “무인이동체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집약체”라며 “이번 로드맵은 무인이동체 상용화를 앞당겨 누구나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체감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만든 설계도”라고 설명했다.

한국은 그동안 무인이동체 기술력이 뒤처진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원천기술력이 세계 최고 기술력의 60% 수준인 데다 부가가치가 큰 핵심부품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지난해 326억 달러 규모의 세계 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2.7%에 그쳤다. 세계 시장 규모는 2030년 2742억 달러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이번 로드맵에는 무인이동체 신제품 개발계획이 대거 포함됐다. 먼저 2023년까지 택배 업무 등 물류 업무를 맡는 배송용 자율운반차량이 개발될 예정이다. 그 이듬해까지는 통근용 개인드론과 연안에서 운항하는 무인수상정이 공개될 방침이다.

2027년까지는 심해저와 험지, 고고도 등 극한환경에서 운용할 수 있는 무인이동체가 모습을 드러낼 계획이다. 두 달 동안 물속을 탐사할 수 있는 무인잠수정과 로봇팔을 달아 고층 건물을 지을 수 있게 한 건설드론도 이때쯤 개발될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바다와 하늘을 오가는 무인기와 서로 분리·합체가 가능한 자율주행자동차와 드론은 2029년까지 개발된다.

과기정통부는 이날 육·해·공 무인이동체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6대 핵심기술도 발표해 집중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공통 핵심기술 개발을 통해 유사·중복 개발을 방지하겠다는 것이다. 무인이동체 스스로 주변 상황과 임무를 판단하는 ‘자율지능’ 기술과 작고 가벼운 장애물 탐지 센서 등을 생산하는 데 쓰이는 ‘탐지·인식’ 기술 등이 포함됐다.

또 공통핵심기술과 무인이동체의 용도에 따른 특화기술을 결합해 앞으로 무인이동체 시장에서 수요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5대 용도별 플랫폼’을 개발키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내년에만 연구·개발(R&D) 예산 120억원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9만2000개 신규 일자리와 수출액 160억 달러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 그래픽=전진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