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숙사 갈등 고조… 서울시로 몰려간 한양대생들

입력 2017-12-06 21:55
한양대 학생들이 6일 오후 한양대 기숙사 신축 계획을 심의하는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개최에 앞서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제22차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가 열리기 1시간 전인 6일 오후 1시. 한양대 학생들이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기숙사 신축을 확정하라”고 요구했다.

파이낸스경영학과 1학년생 김능회씨는 “강릉에서 올라와 자취를 하고 있는데 보증금 1000만원에 월세 55만원을 낸다”며 “월세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수업시간 외 모든 시간을 알바에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대 학생회장인 원상혁씨는 “그동안 한양대 학생들은 2857명의 서명, 1885명의 자필 탄원서, 5000명의 한마디 등을 서울시에 전달했고 매주 기숙사 신축을 허가해 달라고 요구해 왔다”고 전했다.

기자회견에는 건축학과 교수와 교직원노동조합도 참여했다. 서현 건축학과 교수는 건물주들이 재산권 침해를 주장하며 기숙사 신축에 반대하는 모습에 대해 “기성세대가 미래세대의 등에 빨대를 꽂고 있다”고 비판했다. 학생들은 ‘기숙사 신축 1년을 기다렸다’ ‘도시계획 심의 더는 기다릴 수 없다’ 등의 피켓을 들고 전날 저녁부터 시청 앞에서 밤샘 농성을 벌였다.

한양대 기숙사 신축 계획은 지난 6월 서울시 도시계획을 결정하는 도계위에 상정됐다가 보류됐다. 지난달 15일 재상정됐으나 일부 위원들이 중도 퇴장하는 바람에 정족수 미달로 심의 자체가 무산됐다. 이번이 세 번째 상정이다. 오후 2시 시작된 도계위는 1번 안건으로 한양대 기숙사 신축계획을 심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결과는 7일 발표된다.

총학생회에 따르면 한양대의 기숙사 수용률은 11.5%에 불과하다. 수도권 대학 평균인 16.1%에 한참 못 미친다. 이 때문에 학교 측은 2015년 19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6·7 기숙사 신축 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나 임대수익을 올려온 한양대 인근 사근동, 마장동, 행당동 일대 건물주들과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쳐 표류해 왔다.

서울에서 대학 기숙사 신축 갈등이 있는 곳은 한양대뿐만이 아니다. 고려대 기숙사 신축 계획은 4년째 진전되지 못하고 있고, 총신대 기숙사는 신축 허가를 받았지만 주민들 반대에 부딪혀 있다. 경희대 기숙사는 3년여의 갈등 끝에 최근 1년 임시사용 허가를 받았다.

한편 서울시는 마포구 광흥창역 인근에 2020년 건립되는 역세권 청년주택 중 60개실을 확보해 보증금 100만원, 월 10만∼20만원에 입주할 수 있는 공공기숙사로 제공한다. 광흥창역 공공기숙사에는 서울시와 협약을 체결한 강원도 삼척시, 인제·정선·철원군, 경북 고령군, 경남 창녕군 등 6개 지역 출신 대학생들이 입주할 수 있다.

글·사진=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