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회복세에도 불구하고 내년 취업자 증가폭이 30만명을 넘기지 못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경제활동인구가 감소하고, 베이비부머(1955∼63년생) 세대 은퇴가 시작되면서 전체 노동력 감소 현상이 본격화될 것이란 예측이다. 문제는 전체 노동력 감소에도 불구하고 청년 취업난이 쉽사리 개선될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한국노동연구원은 5일 ‘2017년 노동시장 평가와 2018년 고용전망’ 보고서에서 내년 취업자 증가폭을 29만6000명으로 예상했다. 최근 경기회복세를 감안하면 이례적인 관측이다. 올해 취업자 증가폭이 32만4000명이었던 점과 비교해도 격차가 크다.
노동연은 이를 15∼64세 경제활동인구가 감소하는 현상으로 설명했다. 성재민 동향분석실장은 “금융위기 이후에 연구원이 30만명 미만으로 취업자 증가폭을 전망한 것은 거의 처음”이라며 “인구구조 변화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또 그동안 활발히 경제활동에 참여해 왔던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노동력 부족 현상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실제 올해까지만 해도 취업자 증가폭의 대부분은 베이비부머 세대가 견인했다. 지난 1∼10월 베이비부머 취업자 증가 수는 32만5000명에 달했다. 보고서는 “경제활동이 상대적으로 덜 활발한 인구집단을 노동시장으로 유인하기 위한 적극적인 고용대책의 중요성이 날로 커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노동력 부족 현상이 청년들의 취업난 개선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전망이다. 노동연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근로조건 격차가 여전히 현격해 ‘좋은 일자리’가 부족한 현 구조가 개선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했다. 결국 일부 중소기업의 ‘구인난’과 더 좋은 일자리를 원하는 청년들의 ‘구직난’이 동시에 벌어지는 일자리 ‘미스매치’ 상황이 지속될 것이란 설명이다.
실제로 경기회복세를 탄 올해도 청년층의 고용률은 답보상태였다. 올 1∼10월 19∼29세 청년층 고용률은 55.7%로 전년 대비 0.5% 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
경기 개선되고 노동력 줄어도 “내년 취업자 증가 30만명 미만”
입력 2017-12-05 1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