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들이 골목상권 활성화에 사활을 걸고 있다. 대기업들의 영업 다각화로 지역 골목상권이 붕괴 직전의 위기에 처한 데다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으로 인해 자리를 잡은 원주민 상인들까지 내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중소기업벤처부가 최근 발표한 ‘소상공인 생존율’은 자영업자들의 열악한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2008년 창업한 소상공인 중 2013년까지 5년간 생존한 비율은 29%에 불과했다.
5일 전국 각 지자체들에 따르면 이들은 저마다 골목상권을 지키기 위해 특화거리 지정과 청년몰 운영, 지역화폐 발행, 금융지원 확대 등의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경남 김해시의 경우 한림 가구거리와 장유 율하카페거리, 진영 패션아웃렛거리, 불암 장어타운 등 5곳의 특화거리 지정을 추진 중이다. 시는 오는 8일 시의회 본회의에서 ‘김해시 특화거리 지정에 관한 조례’가 통과되면 대형 간판을 포함한 조형물 설치와 홍보예산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수년전부터 특화된 ‘김광석길’에서 관광객 증대 성과를 거둔 대구 중구의 고민은 이와 다르다. 상권 활성화의 부작용인 젠트리피케이션을 막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중구는 방천시장 인근에 김광석길을 조성한 후 상권이 커졌지만 원주민들이 치솟는 임대료를 감당하지 못해 쫓겨나자 대책수립에 골몰하는 중이다. 중구는 계명대 산학협력단 용역결과를 토대로 젠트리피케이션 예방을 위한 민관협의체 구성과 상생 협약 체결, 일정기간 임대료를 올리지 않는 ‘안심상가’ 운영 등의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강원도 춘천시는 육림고개 청년몰 조성사업을 추진한다. 옛 육림극장에서 중앙시장을 잇는 육림고개는 1990년대 초반까지 춘천 도심의 중심 상권이었지만 신도심이 생겨나면서 빈 상점이 늘어나 침체기에 빠졌다. 시는 청년상가 20개 점포를 새로 입주시키고 화장실 등의 편의시설을 확충해 4가지의 테마공간을 만들기로 했다. 경기도 성남시는 내년 7월부터 5세 이하 아동에게 매월 10만원씩 지원하는 아동수당을 지역화폐인 ‘성남사랑 상품권’으로 지급한다. 시는 이를 통해 골목상권에 활기를 불어 넣는다는 계획이다.
광주광역시는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해 금융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시는 연말까지 최저금리로 특례보증 자금 300억원을 지원한다. 시는 광주·전남중소기업청, 광주신용보증재단 등 5개 유관기관과 함께 음식점 등 53개 업종 종사자에게 낮은 이자의 특례보증을 해주고 있다. 윤장현 광주시장은 “골목상권 매출이 지역에서 다시 소비되는 선순환경제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며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는데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광주·대구·춘천=장선욱 최일영
서승진 기자 swjang@kmib.co.kr
창업 ‘5년 생존율’ 29%… 지자체마다 “골목상권 살려라” 총력
입력 2017-12-06 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