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수많은 금융거래에서 자금세탁이 의심되는 거래를 걸러내는데 인공지능(AI) 기술을 동원한다.
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5일 서울 중구 KEB하나은행에서 열린 아태지역 자금세탁방지기구(APG) 워크숍에 참석해 “급증하고 있는 금융거래 보고를 정교하고 체계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AI를 활용한 심사분석 시스템을 내년부터 구축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7일까지 열리는 이번 워크숍는 APG와 유라시아 자금세탁방지기구(EAG) 회원국의 150여명이 참여한다.
김 부위원장은 개회사에서 “금융회사와 핀테크 기업은 AI,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해 자금세탁 의심 거래를 파악하고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해 고객확인(CDD)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관세 당국, 법 집행기관, 금융회사 등)가 개인정보 장부를 공유해 개별 금융회사의 고객확인 작업을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 김 부위원장은 “혁신적 서비스를 규제부담 없이 금융시장에서 시범 적용하고 시장에서 일정 규모로 성장할 수 있도록 관용을 갖는 규제체계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한국은 지난 10월 기존 금융업법 체계와 충돌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핀테크 기업의 서비스를 금융회사에 위탁해 시험하는 금융규제 테스트베드를 도입했다. 규제 특례를 위한 법률을 제정하고 블록체인 테스트베드도 운영할 계획이다.
김찬희 기자 chkim@kmib.co.kr
AI로 자금세탁 미리 잡는다
입력 2017-12-05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