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체 절반이 창업 후 3년을 버티지 못하고 문을 닫는 것으로 조사됐다. 창업률(전체 사업체 중 창업업체 비율)도 줄고 있다. 문재인정부가 혁신성장의 주요한 축으로 창업을 내세우고 있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는 의미다.
한국고용정보원은 4일 ‘지역별 창업에 따른 고용변동과 고용격차’ 보고서에서 2011년 1분기에 창업한 사업체의 3년 생존율이 53.5%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강원도가 45.4%로 3년 생존율이 가장 낮았고, 전남과 전북, 경북이 뒤를 이었다. 생존율이 가장 높은 곳은 대구(56.3%)와 경기도(56.3%)로 나타났다. 같은 시기 창업한 사업체의 5년 생존율은 전국 평균 38.3%까지 떨어졌다. 10개 중 6개 창업 사업체는 5년을 넘기지 못한 셈이다.
창업률도 5년 전에 비해 줄었다. 지난해 창업률은 18.7%로 2011년 19.0%에서 소폭 하락했다. 제주(23.2%)와 강원(20.5%), 충남(20.0%)을 제외하면 창업률이 20%를 넘긴 곳이 없었다. 창업률이 높은 지역일수록 고용성과가 상대적으로 높아진다는 분석을 감안하면 그만큼 창업을 통한 고용창출이 활발해지지 않고 있다는 뜻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벤처기업 창업과 육성을 장려하는 ‘혁신창업’ 정책을 제시한 바 있다. 젊은 기업일수록 고용창출 효과가 탁월하다는 점에 착안해 창업을 통한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게 목표다. 박진희 연구위원은 “지역별로 고용성과를 내기 위해 필요한 전략이 다르다”며 “사업체 생존율과 고용성장성 등을 감안한 맞춤형 지원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세종=정현수 기자
창업 절반 3년 못 버티고 폐업
입력 2017-12-05 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