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형문화유산 보호 재원확보’ 175개국 머리 맞댔다

입력 2017-12-04 19:54
4일 제주 서귀포시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개막한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제12차 유네스코 정부간위원회에서 참석자들이 회의 내용을 경청하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이탈리아 나폴리 피자 등 각국이 신청한 49개 종목에 대한 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및 긴급보호 목록 등이 의결된다. 문화재청 제공

“이번 한국 회의에서는 인류의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재원 부족 문제가 중요하게 논의될 겁니다.”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제12차 유네스코 정부간위원회가 4일 제주도 서귀포시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개막했다. 24개 위원국 대표단과 175개 협약국 대표단, 유네스코 사무국, 비정부기구(NGO)에서 전문가 1000여명이 참석했다. 한국은 올해 개최국이자 의장국이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는 2007년에 중국과 일본, 2011년에 인도네시아에서 열린바 있다. 한국 개최는 처음이다.

프란시스코 반다린 유네스코 문화분야 사무총장보는 기자간담회에서 “지난 10년간 매년 30∼40개씩 등재되면서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은 400여건이 된다. 회원(협약)국들은 흡족해하고 있지만 불행하게도 재원 부족이 문제”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2011년 이후 이 기구에 대한 유네스코 예산이 4분의 1 삭감됐고, 미국도 유네스코 탈퇴를 선언함에 따라 현실적으로 사태를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축적된 기금의 할용, 기금 모금, 체납 분담금 독촉 방안 등이 논의될 전망이다. 그는 “회원국이 내는 분담금 정규예산보다 기부 등을 통한 비정규 예산 규모가 더 큰 게 현실”이라며 “이를 위해 공신력 있는 기관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일본의 분담금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한국이 신청한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의 유네스코 기록유산 등재가 무산된 게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그 사안은 무형유산이 아닌 기록유산 담당기구에서 결정하며 나름의 운영규정을 가지고 결정했을 것”이라며 “대화를 통해 더 논의하라는 결정을 내린 것으로 안다”고 해명했다.

조티 오사그라하 유네스코 창의국장은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협약의 취지는 등재된 목록이 스포트라이트를 받아 어느 문화재를 다른 문화재보다 부각시키려는 게 아니다. 문화의 다양성을 지키기 위해서 등재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무형문화유산은 소유권이 없다. 여러 국가가 함께 신청하거나 중복 등재되기도 한다는 점을 염두에 뒀으면 한다”고 부연했다.

오는 9일까지 열리는 제주 회의에서는 각국에서 신청한 무형문화유산 49개 종목에 대한 대표 목록, 긴급보호 목록 등이 의결된다. 6∼7일 이틀간 심사하며 독일의 오르간 제조기술과 음악, 이탈리아의 나폴리 피자, 스위스의 바젤 카니발, 아일랜드의 일리언 파이프 음악 등이 후보에 올랐다.

2005년 발효된 무형유산보호협약 정부간위원회는 175개 협약 가입국에서 선출된 24개 위원국으로 구성돼 있다. 매년 한 차례 회의를 열어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긴급보호목록, 모범사례의 등재 여부와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기금의 운용계획, 위기에 처한 무형유산의 보호와 복구 등을 결정한다. 한국은 지난해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서 열린 제11차 회의에서 ‘제주해녀문화’가 등재된 바 있다. 2년에 1건으로 등재 신청을 받기에 올해는 심사 대상은 없고 내년에 ‘씨름’에 대한 심사를 받기로 돼 있다.

서귀포=손영옥 선임기자 yosoh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