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은 30일(현지시간) “중국은 북한에 대한 원유 공급을 더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며 “원유 공급을 완전히 중단하라고 중국에 요구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미국이 원유 공급 전면 중단이 아닌 감축 요구로 수위를 낮춘 것은 중국에 보다 현실적인 방안을 제시해 북한 압박에 나서라고 촉구하기 위한 차원으로 해석된다.
틸러슨은 워싱턴DC 국무부 청사에서 시그마 가브리엘 독일 외무장관과 회담하기에 앞서 기자들에게 이같이 말했다. 그는 “중국이 북한과 관련해 많은 일을 하고 있다”면서도 “원유와 관련해 중국은 더 많은 걸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거듭 중국을 압박했다. 그러면서 그는 “우리가 중국에 주문하고 있는 것은 원유 공급을 지금보다 조금 더 줄여달라는 것이지 완전히 중단하라는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는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국대사가 소개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과는 조금 다르다. 헤일리는 전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공개발언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에게 북한에 대한 원유 공급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고 밝혔다.
틸러슨의 ‘원유 공급 감축’ 요구는 결국 북한을 대화로 끌어내기 위한 압박 카드로 풀이된다. 중국은 원유 공급을 전면 중단할 경우 북한 경제가 붕괴되면서 북한을 탈출하려는 난민이 중국으로 쏟아져들어오는 것을 두려워하고 있다. 그러니 전면 중단하지 말고 중국이 북한이 대화에 나설 정도로 원유 공급을 줄이면서 북한을 설득해달라는 주문으로 볼 수 있다.
제임스 매티스 미 국방장관은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외교적 노력을 중단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매티스는 국방부 청사에서 기자들을 만나 “외교가 작동하지 않았다고 말하지 않겠다”며 “우리는 외교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동시에 미국은 군사적 옵션도 갖고 있기 때문에 우리의 외교관들은 힘의 우위를 갖고 대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독일과 폴란드, 루마니아, 불가리아 정부는 자국 내 북한대사관의 불법 임대행위를 중단시키기 위해 북한과 외교부지 임대 계약을 해지했거나 부지 반환을 요구하고 있다고 미국의 소리(VOA) 방송이 이날 보도했다. 독일은 지난 9월 북한대사관의 호스텔 운영을 중단시켰고, 폴란드는 북한대사관에 임대행위 중인 부지를 돌려달라고 요구했다. 루마니아와 불가리아도 북한대사관의 임대사업을 중단시키기 위한 조치를 검토 중이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
틸러슨 “대북 원유 공급 줄여라”… 中 압박
입력 2017-12-02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