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가 이달부터 내년 12월까지 반구대암각화의 보존관리방안 등을 위해 종합학술 조사·연구를 진행한다고 28일 밝혔다.
울산시에 따르면 국립문화재연구소는 반구대암각화 보존을 위한 주변 지표조사 및 물리탐사, 주변 시·발굴조사, 상시계측을 통한 안전관리 및 3D 스캔 분석, 환경영향평가 기초연구 등 4개 분야 조사·연구를 실시한다. 문화재연구소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암각화 보존 중장기 연구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특히 암각화 주변 시굴 및 발굴조사와 환경영향평가 기초연구는 지난 7월 문화재위원회에서 부결된 생태제방 축조안을 재분석하는 의미가 있다고 시 관계자는 전했다. 생태제방 축조안은 울산시가 반구대암각화 침수 방지와 식수원 확보 등 두 가지 문제의 동시해결 방안으로 10여년 전부터 주장해 왔다. 반면 문화재청은 울주군 소재 사연댐에 수문을 만들어 수위를 조절하는 방안을 고수해 왔지만 이 방안으론 울산의 식수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웠다.
시는 해당 분야의 조사·연구에 문화재청과 울산시가 추천하는 전문가가 참여해야 된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조사·용역이 18여년간 결론을 내리지 못한 반구대암각화 보존문제에 마침표를 찍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반구대암각화 종합학술조사 나선다
입력 2017-11-28 17:32 수정 2017-11-28 2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