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 1317명 정규직 전환 막판 진통

입력 2017-11-28 05:05
서울교통공사(이하 공사) 무기계약직의 정규직 전환 협상이 막판 진통을 겪고 있다. 공사 측의 ‘근무기간 3년 경과자부터 순차 전환’ 방침과 노조 측의 ‘내년 1월 1일 전원 전환’ 방침이 맞서면서 노사협상이 결렬됐다. 그러나 ‘7급 정규직화’로 방향이 잡힌 만큼 연내 합의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공사는 7급부터 시작되는 기존 정규직 체계 아래 8급직을 신설해 무기계약직을 받아들이는 방안을 제시했으나 노조 거부로 무산됐다.

지난 7월 서울시가 산하 16개 투자·출연기관에서 일하는 무기계약직 3000여명을 내년부터 모두 정규직화 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한 뒤 각 기관들은 노사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이중 서울교통공사는 무기계약직원이 1317명으로 무기계약직 정규직화의 성패를 좌우하는 곳이다.

공사가 주장하는 순차 전환을 할 경우, 내년 정규직이 되는 인원은 공사 무기계약직의 21.3%인 280명에 불과하다. 공사의 3개 노조는 지난 23일 합동 기자회견에서 “공사의 안은 당사자들의 요구는 물론 내년 1월 1일 전면 전환이라는 서울시의 방침마저 거스르는 내용”이라고 비판하고 “박원순 서울시장이 직접 중재에 나서라”고 요구했다.

조성주 서울시 노동협력관은 “무기계약직을 7급으로 정규직화 한다는 데 노사 합의가 이뤄진 것은 엄청난 진전”이라며 “다만 전면 전환이나 순차 전환이냐, 그리고 기존 정규직과의 차이를 어떻게 둘 것이냐, 이 두 가지가 막판 쟁점으로 남아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각 기관의 처지와 입장이 다른 만큼 노사가 협상을 통해 정규직 전환 방식을 도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다만 원칙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시의 방침을 밝힌다는 생각이다. 서울시는 순차 전환이 시의 입장과 상충한다는 의견을 공사 측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 노동협력관은 “노사 양측이 각자 입장을 다시 손질하고 있는 만큼 조만간 노사협상이 재개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양측은 무기계약직을 7급으로 정규직화 하되 6급 승진 시 기존 정규직과 달리 2∼3년 유예기간을 더 두는 방안에 대해 의견 접근을 이뤄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대로 합의가 이뤄질 경우, 공사 측이 인건비 등으로 추가 지출해야 하는 돈은 70∼100억원으로 추정된다.

박경환 서울시 노동정책과장은 “SH공사, 농수산물공사, 시설공단 등 시의 다른 투자·출연기관에서도 정규직 전환 협상이 진전되고 있다”면서 “서울교통공사를 비롯해 대다수 기관들에서 연내 합의를 이룰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