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평창동계올림픽 개최지역인 강원도 강릉과 평창의 숙박요금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고 있다. 27일 숙박전문 사이트를 보면 평일 8만원의 요금을 받는 강릉지역의 한 호텔은 올림픽 개최일인 내년 2월 9일엔 40만원의 요금을 받는 것으로 되어 있다. 올림픽 개최를 이유로 요금을 평소 금액의 5배로 올린 것이다. 또 일부 모텔과 펜션 등은 외국인 단체 관광객 유치를 위해 개별 관광객의 예약을 받지 않고 있다.
강원도는 올림픽 기간 너무 비싼 요금 때문에 공실사태가 우려되자 27일 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바가지 요금 근절을 위한 대책을 발표했다. 도와 도내 숙박협회는 극심한 바가지 요금이 KTX, 배후도시 무료셔틀 등 접근성 강화와 맞물려 올림픽 특수가 아닌 빈방 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현재 강릉의 숙박시설은 1만1492실, 평창은 4794실로 이 가운데 각각 4163실, 1205실의 계약이 완료된 상황이다.
도는 강력한 지도·점검과 함께 가격정보를 공개해 숙박업소의 합리적 가격 책정을 유도할 방침이다. 또한 신고센터(1330)를 통해 바가지요금 등이 신고된 업소는 사실 확인을 거쳐 시설개선 등 지원사업을 모두 배제하고, 관할 세무서에 해당 내용을 통보해 세무조사를 의뢰하는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해 제재하기로 했다.
대형 숙박시설의 물량을 풀어 가격안정에도 나서기로 했다. 도는 경기장에서 1시간 이내 인접한 17개 대형숙박시설 4904실에 대해 다음 달부터 올림픽 기간 중 예약이 가능하도록 조치했다. 나머지 대명·한화리조트 등이 운영하는 27개 시설 1만418실도 조기예약이 가능토록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 대형 숙박시설은 통상 이용 1개월 전부터 예약이 가능하다.
최문순 지사는 “숙박요금이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면 KTX로 1시간 남짓 이동이 가능한 수도권으로 관광객들이 대거 빠져나갈 것으로 우려된다”며 “올림픽 기간 숙박요금이 합리적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춘천=글·사진 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
강원도, ‘바가지 숙박요금’ 해결 팔 걷었다
입력 2017-11-27 2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