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외교 소식통 강조
‘갈등 봉인’ 우리측 표현도 용인
中, 軍당국 간 채널 통해 소통
10월31일 양국 합의 안 벗어나
차단벽 설치 요구 없었다 단언
보복 풀리는 징후에 대해선
“조만간 좋은 소식 있을 것”
사드(THAAD) 합의 이후 한·중 간 논란이 된 중국 측의 ‘사드 문제의 단계적 처리’ 입장은 사드 갈등과 관련해 ‘현 단계에서 일단락을 짓는다’는 의미이며, ‘사드 갈등 봉인’이라는 우리 측 표현도 중국 측이 용인했다고 외교 관계자가 재차 강조했다.
앞서 지난 22일 한·중 외교장관 회담 때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양측은 사드 문제의 단계적 처리에 있어 공통인식에 도달했다”고 갑자기 ‘단계적 처리’라는 표현을 사용해 ‘사드 합의 번복’ 논란이 빚어졌었다.
베이징 외교 소식통은 27일 “중국이 단계적 처리라는 용어를 써서 혼선이 빚어졌는데, 현 단계에서 (사드 갈등을) 일단락 짓는 것을 의미한다고 우리 측에 설명해 왔고 중국 측 영문자료에도 그렇게 돼 있다”고 밝혔다.
‘현 단계’라는 의미에 대해선 “사드에 대한 양국의 입장이 서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한·중은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양국 이익에 부합한다는데 서로 동의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중국이 사드 문제를 계속 거론하는 이유에 대해 “책임은 없지만 영향력 있는 한국 인사가 미국에서 사드 협의 결과를 훼손 또는 부인하는 발언들을 하는 경우가 있다”며 “이런 발언이 현지 대사관을 통해 중국 정부에 보고되면 ‘한국이 약속을 안 지키는 게 아니냐’며 자꾸 물어보는 게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지난 10월 31일 합의를 벗어난 얘기를 한 적이 없다. 군사당국 간 채널을 통해 소통해 나가기로 했다고 돼 있는데 그 기조에서 달라진 게 없다”고 강조했다. 또 “중국이 우리에게 뭔가를 추가로 요구하는 게 아니라 반복해서 우리에게 (합의 내용을) 질의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측의 사드 차단벽 설치 요구 여부에 대해선 “전혀 없었다”고 단언했다. 한국의 사드는 중국 등 제3국을 겨냥한 탐지설비가 아니라는 것을 공개적으로 밝혔고 중국은 그것을 넘어서는 요구는 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이 소식통은 “중국도 인공위성 등 전략자산을 갖고 있고, 인공위성으로 살펴보면 다 알 수 있는데 우리가 꼭 얘기해줘야 아느냐”고도 했다. 중국이 기술적인 측면에서 사드 시스템에 대해 모두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에게 기술적 검증을 별도로 요구할 필요가 없다는 의미다.
사드 보복이 풀리는 징후에 대해선 “조만간 좋은 소식이 있을 것”이라며 “양국 간 협의 결과 이행 의지가 확실하다면 모든 것이 다 풀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베이징=노석철 특파원 schroh@kmib.co.kr
“中의 ‘사드 단계적 처리’는 현 단계서 일단락 의미”
입력 2017-11-27 18:49 수정 2017-11-27 21:12